[기타 정보자료]/암석과 보석의 건강관련

수정의 힘을 증명하는 실험

가야트리샥티 2012. 9. 18. 10:57

몇 년 전에 일본의 한 텔레비전 방송에서 수정 특집 프로그램을 방영한 적이 있었다. 그 프로그램에서는 수정이 정말로 신비한 힘을 가지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몇 가지 실험을 했는데, 그 중 하나가 병을 앓고 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다. 도쿄에 있는 한 동물병원에서 심장비대증을 앓고 있는 개에게 수정벨트를 착용시켰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7주가 지나자 병이 회복되었다. 그리고 자율신경에 이상이 있던 개에게 백수정 구슬목걸이를 채워두자 열흘 뒤에 완치가 되었다고 한다.
수정은 동물의 질병 치료뿐만 아니라 인간의 질병 치료에도 신비한 힘을 발휘한다. 일본 오사카 시의 산하의원(山下醫院)에서는 수정을 이용한 질병 치료 사례를 발표했다.
이 병원에서는 한 자궁근종 환자 치료에 수정을 사용했다. 그 결과 종양의 크기가 처음에 92 x 102mm 이던 것이 4주 후에는 81 x 85mm, 7주 후에는 거의 절반인 59 x 49mm로 줄었다.
수정으로 AIDS를 치료한 사례도 있다. 이것은 아메리카 인디언의 수정을 이용한 전통 치유법에 의한 것이다. 아메리카 인디언의 전승에 따르면, 모든 사물에는 숫자가 붙는다. 태양은 1이고, 지구는 2이며, 혈액에 붙는 숫자는 13 이다. 잘 알다시피 AIDS는 혈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병이다. 미국의 한 수정 치유사가 AIDS 환자들에게 끝을 13면 원뿔형으로 절단한 백수정을 사용하여 치료를 해봤더니, 몇 명은 호전되었고, 몇 명은 완치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미국 민간의료의회에서는 이 같은 수정 치료 사례를 보고받고 의료 현장에 이용하기 위하여 본격적인 연구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에너지를 내포한 육체적, 정신적, 심령적 영역이 한 계통으로 개인을 구성한다고 보고, 건강이란 이 에너지들이 서로 균형을 유지하고 공명할 때의 상태라고 믿는다. 이들에 따르면, 우리 몸의 각 장기는 고유한 리듬의 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이 에너지들이 다른 장기들과 공명하고 있다. 그리고 몸이 아픈 사람은 해당 장기의 에너지 리듬이 변화되어 다른 건강한 장기와 공명하니 못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장기 에너지 리듬의 불협화음을 노래, 북, 수정으로 바로잡으면 몸이 건강해질 수 있다고 믿었다. 이 중에서 특히 수정은 질병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단이었다. 그들은 수정을 이용하면 대개의 질병이 낫고, 위장질환, 눈의 질환, 빈혈, 산후조리, 약물중독, 어지러움증, 패혈증, 편도선염에 특히 효과를 나타낸다고 믿었다.
이집트의 파라오 시대에도 수정을 질병 치료에 사용하였고, 동양에서는 침에 수정을 감싸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요즘은 육각수 같은 물이 몸에 좋다고 널리 알려지면서 수정을 물에 담가서 그 물을 마시기도 한다. 수정이 좋다는 얘기들은 구구한데, 그것을 과학적으로 어떻게 증명할 수 있는지 일본에서 했던 간단한 실험 몇 가지만을 소개해보겠다.

-근력 실험

우리 몸은 어떤 것이 좋고 어떤 것이 나쁜지를 이미 알고 있다. 천연 양념만을 써서 조리한 음식과 화학조미료로 조리한 음식을 각각 따로 먹어보고 우리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해 보면 그 차이를 금방 체험해 볼 수 있다. 오링(O-Ring) 테스트의 원리도 이와 같다. 우리 몸은 인체에 좋은 물질의 자국에는 근력이 증가하고, 해로운 물질의 자극에는 약해진다.
먼저 수정을 착용하기 전의 근력을 기록해 두고, 착용한 후에 다시 근력을 기록해 비교해봤다. 그랬더니 수정을 착용한 후의 근력이 훨씬 향상되었다. 이 실험은 비교적 간단하고 고가의 장비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직접 해볼 수도 있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시험자와 피험자 두 사람과 수정이 필요하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수정을 착용하기 전과 후, 각각 한 번씩 해서 두 결과를 비교한다.

① 피험자는 한쪽 팔은 내리고 다른 쪽 팔은 팔꿈치를 쭉 펴서 수평을 유지한다

② 시험자느 핌험자와 마주 보고 한 손을 피험자의 어깨 위에 놓고, 다른 손은 피험자가 올린 손목 위에 둔다.

③ 시험자는 피험자에게, 자신이 위에 올려놓은 손으로 손목을 누르면 힘을 주어 저항하라고 지시한다.

④ 시험자는 피험자의 뻗은 손목을 확인하고 빨리 누르도록 한다. 반응의 정도만 알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강한 힘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피험자가 지나치게 피로하지 않을 정도로만 힘을 준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수정을 착용하기 전과 착용한 후를 비교하면 확실하게 수정의 힘을 체험할 수 있다.

-알파파 실험

뇌파를 분석해 보면 뇌의 힘이나 의식의 집중도를 알 수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수정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에 따르면 수정을 몸에 지니고 있으면 마치명상을 할 때처럼 알파파가 증가한다고 한다.

-파동 실험

모든 물질과 의식에서는 파동이 나온다. 모든 것은 입자이며 동시에 파동 그 자체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은 고정된 물질이라기 보다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리듬 혹은 파동이다. 그러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도, 이 세계도 거친 파동으로부터 미세한 파동으로 빽뺵이 겹쳐 쌓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에너지 파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해석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으나 최근에 MRA 나 QRS, BRS 같은 장치들이 등장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백수정 원석을 BRS(Bio-information resonance analyzing & transcribing system)라는 파동 기기로 분석했더니 고대인들이 효험이 있다고 전하는 내용이 크게 틀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감정적인 치유와 몇 가지 성인병 특히 혈액과 관련된 질환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수돗물의 잔류 염소 실험

알다시피 우리가 사용하는 수돗물은 염소로 소독한다. 두 개의 시험관에 같은 양의 수돗물을 넣는다. 그리고 한쪽에만 자긍 수정 알갱이를 넣는다. 이렇게 하루가 지난 후에 두 시험관에 든 물의 염소 소치를 비교해 본다. 그렇게 했더니 수정을 넣어둔 시험관의 잔류 염소량이 0.1ppm쯤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타 정보자료] > 암석과 보석의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화이트펄시계"  (0) 2013.02.07
[스크랩] "진주눈꽃"  (0) 2013.02.07
[스크랩] "그린진주세트"  (0) 2013.02.07
[스크랩] "헤마반지"  (0) 2013.02.07
뇌파의 종류  (0) 2012.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