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자재로 쓰이는 목재나 혹은 여러 화학제품들도 공기/수분/태양광 등과 반응하면 산화되고 변질(변색,변형,응고등)되게 된다.
위의 포르말린 관련사고 에서도 지적했듯이 목재(합판,MDF,무늬목합판)를 비롯한 벽지, 바닥재, 마감재등 많은 건축자재와 가구들은 제조과정에서 접착공정, 혹은 원료나 제품에 대한 방부효과등 여러가지 목적을 위해서 유독성 화학물질들을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제조과정에서 첨가된 화학물질들로 인해 발생한 휘발성유기화합물들은 주택이나 건물에 시공된후 오랜시간동안 서서히 방출되어, 그 내부에 주거하는 사람들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실내외에 칠해진 페인트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방출되고, 합성수지로 제작된 각종 전자제품들도 마찬가지이다. 합성피혁(레자)소파는 물론이고, 천연가죽소파도 가죽가공할때 수십가지 화학약품이 들어간다. 안심할수 있는것이 거의 없는것 같다.
그러고보면, 우리의 옛 선조들이 큰 건축물을 지을 때 목재를 바닷물에 몇 년씩 담그거나 갯벌에 오랫동안 묻어뒀다가 사용했다는데 이것은 참으로 지혜롭고 친환경적인 천연방부처리기술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현대에서는 이렇게 해서는 상업적 타산을 맞출 수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고 손놓고 구경만하고 있을수는 없는 일이다.
상업적 경제성도 중요하지만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문제는 더 중요하다.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꼭 필요해서 화학물질을 써야 한다면, 검증되고 안전한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물론 쓰지않고 그냥 제조유통하는것 보다는 비용은 더 들겠지만, 사람이나 환경 그리고 후손들을 생각한다면 충분한 지불의미가 있는 비용이며 가치있는 행동이 될것이다.
지구와 환경 미래를 생각한다는 것은 거창한 곳에서 출발하는것이 아니다.
내가 만드는 제품에서 유해물질을 줄이고 내 이웃을 생각하고 고객을 생각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조그마한 마음에서 시작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