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은 갱년기로 전환되는 여성들이 경험할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이다. 이 심혈관계 현상은 갱년기에 접근하는 여성들에게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에스트로겐 레벨의 변화에 위하여 촉진된다.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은 갱년기 동안에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여성들에게는 두려운 일이고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사건이다.
심혈관의 전문용어
- 맥박(Pulse) : 심장박동에 따르는 동맥의 확장과 율동성 수축운동
- 심계항진(心悸亢進:Tachycardia) : 분당 100회 이상의 빠르거나 불규칙적인 심장박동
- 서맥(徐脈:Bradycardia) : 평상시 보다 늦은 심장박동
- 기외(期外)수축(Extrasystole) : 우연하게 일어나는 추가되는 심장박동
- 부정맥(Arrhythmia) : 불규칙적인 심장박동과 함께 일어나지 않는 비정상적인 심장리듬
- 강화된 심장관심(Enhanced cardiac awareness) : 심장이 맥박은 정상이지만 쿵쿵 두드리는 소리 처럼 들린다.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에 관하여
심장고동(Heart Palpitation) 혹은 심계항진(Tachycardia)으로 알려진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은 심장박동이 더 빨라지거나 정상시 보다 더 강해졌을 때 일어난다. 이것은 여성들에게 자신의 심장박동에 불쾌한 의식을 주곤한다. 여성들은 자신의 심장박동이 건너 뛰거나 가슴을 쿵쿵 두드리는 소리를 느끼게 한다.
# 심장의 기능
심장리듬은 심장 자신의 전기적인 시스템에 위하여 작동된다. 심장박동이 있을 때 전기적 신호는 심장의 자연적인 조율기인 동방결절(洞房結節:Sinus(SA) node)에서 시작한다. 이 동방결절은 심장박동의 속도와 리듬을 조정하는 전기적 신호를 만들게 된다. 이 전기적 신호는 동맥벽의 완쪽과 오른쪽을 통하여 전달되어 심실(Ventricles)에서 혈액을 밀어 내거나 수축하도록 하게 해준다. 이 전기적 신호는 잠시의 간격을 두고 심방(Atria)에서 심실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가교 역활을 하는 방실결절(房室結節:Atrioventricular(AV) node)에 도달하게 된다.
방실결절으로 부터 신호는 심장수축을 위하여 심실에 신호를 보내고 섬유질 통로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심장의 수축은 폐와 온 몸으로 심장의 혈액을 밀어내개 되고, 반월판(Semilunar)의 밸브는 닫히게 된다.
- 혈액네 부신수질 호르몬(Adrenaline in blood) - 좌심방(Left Atrium)
- 우심방(Right Atrium) - 좌심실(Left Vetricle)
- 동방결절(SA node)
- 방실결절(AV node)
- 신경으로 부터 부신수질 호르몬(Adrenaline from nerve)
- 우심실(Right Vetride)
-
-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 - 대동맥(Aorta)
- 폐로 향하는 혈액(To the Lungs) - 폐로 향하는 혈액(To the lungs)
- 폐동맥판(Pulmonary valve) - 폐동맥판(Pulmonary valve)
- 폐로 부터 온 혈액이 좌심방으로 간다. - 폐로 부터 온 혈액(From the lungs)
From the lungs(to left artium) - 좌심방(Left atrium)
- 우심방(Right atrium) - 승모판(Mitral valve)
- 삼천판(Tricuspid valve) - 대동맥판막(Aortic valve)
- 우심실(Right Vtricle) - 좌심실(Left ventricle)
- 산소가 공급되지 않은 혈액(Unoxygenated blood) - 산소화된 혈액(Oxygenated blood)
- 내부정맥(Interior Vena Cava) - 하행대동맥(Descending aorta)
# 정상적인 심장박동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균적 심장박동은 분당 60~100이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거내 어떤 약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분당 55 정도이며 가끔 그 이하일 수도 있다.
# 심장박동수 측정방법
손목에서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왼손의 중간손가락 안쪽을 오른손의 동맥위에 올려 놓고, 맥박을 찾아 분당 맥박수를 계산하거나 30초당 맥박수를 계산하여 두배로 계산하기도 한다.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의 증상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은 밤이나 낮을 구분하지 언제나 일어나며 몇초부터 몇분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의 증상
- 가슴이 두근거림
- 심장의 박동이 건너뛰는 느낌
- 가슴, 목구멍 그리고 목에 쿵쿵 두드리는 느낌
- 심장박동의 관심
- 맥박이 증가한다.
- 빠른 심장박동
# 수반되는 증상
- 현기증 혹은 어지러움증
- 호흡이 짧아짐
- 가슴이 불편하다.
- 얼굴이 붉어지다.
- 공포 혹은 불안한 느낌
- 나약해짐 혹은 피로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의 원인
갱년기 동안에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에스트로겐 레벨의 변동이다. 그러나 다른 의학적인 조건은 갱년기 동안의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야기하거나, 관련이 된다.
# 호르몬 원인
에스트로겐은 원활한 심장기을 위하여 중요한 역활을 한다고 한다. 갱년기에 근접한 여성들은 내분비계통의 변동이나 급작스러운 감소에 위하여 에스트로겐을 생산하게 되며, 이는 심혈관 시스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예를들면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자율신경계의 과도한 자극으로 인한 결과이며, 이것은 심장고동과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을 야기한다. 갱년기 동안 에스트로겐 레벨의 감소는 불규칙적인 심장박동, 빈번한 심장고동의 증가 그리고 위험스럽지 않는 부정맥의 발생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한다.
# 에스트로겐과 심혈관 시스템
에스트로겐은 아래의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
- 콜레스테롤의 성향과 신진대사
- 지방단백질의 높고 낮은 밀도(H/LDL)에 관한 혈장 레벨
- 동맥벽 안에 부드러운 근육세포의 확산
- 관상동맥의 수축을 억제 내지는 확장을 자극한다.
-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를 조정한다.
# 불규칙한 심장박동의 의학적 원인
- 활동이 지나친 갑상선
- 열병, 빈혈
- 과호흡증후군
- 혈액내 산소부족
- 약물
- 심장부정맥
- 심장질환
# 다른 원인
- 과도한 운동
- 불안
- 카페인
- 다이어트약
- 코카인
- 니코틴
- 스트레스
의사의 진단이 필요한 경우
의사의 진단이 필요한 경우불규칙한 심장박동과 다른 질병으로 함께 고통을 받고 있다면 더 큰 조건으로 발전할 수 가 있다. 의식상실, 숨가쁨, 가슴통증, 설명할 수 없는 땀 그리고 현기증을 수반한 불규칙적인 심장박동을 경험하고 있는 갱년기 여성은 즉시 의사의 진찰이 필요하다. 또한 불안, 열, 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맥박이 분당 100이 넘거나 아래의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 이다.
- 새로히 혹은 다른 심장고동을 경험하고 있을 때
- 분당 6번이상 추가의 심장박동을 느끼고 있을 때
- 당뇨, 고혈압 그리고 콜레스테롤이 높은 경우와같은 불규칙한 심장박동의 위험요인이 있을 때
처음으로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경험하는 갱년기 여성은 다른 심각한 조건으로 발전하기 전에 의사와 협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위한 심혈관 테스트
- 심전도(ECG : Electrocardiogram)
- 보행감시 모니터(Ambulatory Monitor)
- 초음파 심장진단도(Echocardiogram)
- 전기생리테스트(Electrophysiology Test)
- 머리직립기울기테스트(Head Upright Tilt Test)
- 스트레스테스트(Stress Test)
불규칙한 심장박동의 치료
카페인의 섭취를 줄이고, 흥분제, 흡연 그리고 알콜의 소비를 제한하는 생활습관의 변화는 갱년기 여성들의 불규칙한 심장박동 의 영향범위를 줄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또한 요가, 명상, 태극권, 호흡운동 그리고 다른 심신안정화 운동은 갱년기의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줄이거나 방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갱년기 여성의 불규칙한 심장박동의 근본적인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이므로, 자연의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한 음식이나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가장 쉽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Source : http://www.34-menopause-symptons.com/irregular-heartbe
헤미스 모링가 차와 캡슐 주문및 기타문의 hmoringa@naver.com 010-8682-5062
'[ 건강과 함께 완성되기 ]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건강한 몸을 유지하기 위한 섭식 금기사항 * (0) | 2012.12.23 |
---|---|
[스크랩] 우울증(Depression) (0) | 2012.12.03 |
[스크랩] 디팍쵸프라1.늙지 않을 수 있는가 (0) | 2012.11.27 |
[스크랩] 변비를 근절 시키는 ~ (0) | 2012.10.09 |
장 청소프로그램(기생충까지) (0) | 201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