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과 함께 완성되기 ]/건강상식

[스크랩] 우울증(Depression)

가야트리샥티 2012. 12. 3. 17:50

 

 

 

 

우울증은 갱년기에 나타나는 심각한 잠재적인 증상이며. 시간에 관계없이 슬픈 감정이 수차례 일어나는 증상을 방치하면 삶의 질을 떨어트리는 심각한 정신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여성들은 우울증에 매우 민감하며, 특히 갱년기에는 더욱 그렇다. 여성나이 45~55세 사이의 우울증은 젊은 사람들에 비하여 거의 4배가 된다고 한다. 갱년기 여성들에게 고통을 주는 우울증의 주된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 때문이다.

 

우울증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우울증이라는 용어는 실의에 빠진 활동의 부족, 슬픈 감정(애수) 그리고 부적응에 따른 바관적 감각으로 특정지울 수 있는 정신적 상태를 언급한다. 그러나 우울증은 임상적으로 정신적 장애이므로 의기소침이나 슬픈 감정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임상적 우울증은 잠시동안의 슬픔 보다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사람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며,행동하는야에 영향을 미치는 극단적인 기분저하가 2주이상 진행되는 정신질환인 것이다.

 

# 우울증의 종류

우울증은 6개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갱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주우울증(Major Depression)

   2주 이상 지속되며, 부정적 사고, 가족과 친구들로 부터 멀어지며 정상적 활동에서 흥미를 상실하고 강렬한 슬픈 느낌을 갖는 것으로

   특정지울 수 있다.

- 기분저하장애(Dysthymic Disorder)

   주우울증보다는 강도가 덜하지만 2년이상 장기적으로 지속된다.

-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

   스트레스가 많은 사건이나 상황에 위하여 야기되는데 6개월이하 동안 지속되는 급성과 장기간 지속되는 만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계절성 정서장애(SAD : Seasonal Affective Disorder)

   계절이 계기가 되어 일어나는 우울증으로 동절기 햇빛의 부족으로 야기되는게 가장 일반적이다.

 

아래의 우울증은 갱년기와 밀접한 관계는 없지만, 매우 심각한 정신장애이다.

 

- 조울증(Manis Depression or Bipolar Disorder)

   사람의 기분, 에너지 그리고 인체의 기능에 관한 흔치 않은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두뇌장애로써 매우 심각한 증상이다.

- 정신병적 우울증(Psychotic Depression)

   그곳에 없지만 듣고 보는 환각(Hallucinations)과 비논리적인 사고와 공포를 느끼는 망상(Delusions)과 같은 정신병의 형태로써,  

   여러가지 기능적 손상으로 고통받고 대인접촉을 상실한 심각한 우울증 단계이다.

 

그외에 임산부가 출산후 발생하는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이 있다.

 

# 우울증의 위험요인

- 우울증 전력

- 스트레스

- 흡연 혹은 금연으로 인한 금단현상

- 약물 혹은 알콜사용

- 갱년기

 

 

 

 

 

우울증의 신호와 증상

우울증은 정신적 장애이므로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증상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울증의 증상은 육체적, 정서적, 행동에 관한 증상, 이렇게 3가지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우울증으로 진단을 하기 위하여는 적어도 5가지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어야 하고, 5가지중 하나는 지속적인 슬픈 감정 혹은 즐거움이나 흥미의 상실이어야만 한다.

 

# 육체적 증상

- 피로

- 에너지의 감소

- 과식

- 입맛상실

- 불면

- 이른 아침에 잠들지 않음

- 과도한 수면

- 지속적으로 아프고 통증이 있다.

- 치료하기가 쉽지 않은 소화장애, 경련, 두통이 있다.

 

# 정서적 증상

- 지속적인 슬픔, 불안, 텅빈 느낌

- 절망과 비관적인 느낌

- 죄책감, 무가치, 무력한 느낌

- 흥분성

- 초조

- 자실의 생각및 시도

 

# 행동에 관한 증상

- 즐거움을 가지던 취미, 섹스 혹은 활동에 대한 흥미 상실

- 어려운 집중력

- 상세하게 기억하는 것이 어렵다.

- 결정하기가 쉽지 않다.

- 책임감이 없어 진다.

- 외모에 대한 관심을 상실하다.

 

 

 

 

 

우울증의 원인

갱년기 여성들에게 우울증의 근본적인 원인은 호르몬의 불균형이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이다. 갱년기에 접근하는 여성은 에스트로겐 레벨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에스트로겐은 세로토닌(Serotonin)이나 코티솔(Cortisol)과 같은 기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을 방출하는 두뇌기능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 갱년기 동안의 에스트로겐 레벨의 감소는 전신열감(홍조)이나 불안같은 육체적 혹은 정신적 증상을 야기하고 결국 우울증을 발생하게 한다.

 

# 우울증의 다른 원인

- 생화학물질

- 유전

- 개성

- 환경적 요인

- 질병

 

 

 

 

 

우울증의 치료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그리고 요가나 명상 같은 몸과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는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의 변화가 필요하다. 자전거타기, 수영, 죠깅, 빨리걷기와 같은 육체적적 활동을 일주일에 30분씩 3번만 실행하여도 우울증의 증상을 많이 완화시킬 수 있다. 우울증의 주된 원인은 호르몬 불균형 즉 에스트로겐의 감소이므로 자연의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우울증 을 치료하기위한 가장 쉽고 안전하며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Source  :  http://www.34-menopause-symptons.com/depression.htm

 

 

 

 

 

 

                               헤미스 모링가 차와 캡슐 주문및 기타문의   hmoringa@naver.com   010-8682-5062

 

출처 : 헤미스 모링가(Hemis Moringa)
글쓴이 : han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