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4단계 인생관
다음카페:성공으로 가는 자기최면 http://cafe.daum.net/mindmove
1단계, 브라흐마짜린(Brahmacārin 學生期 梵行期),
베다를 공부하는 학습기로서, 금욕의 생활을 몸에 익히고 배움에 힘쓰며 부모와 스승 등 윗사람 공경하는 단계...
(아마도 태어나서 20대까지의 학습과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방황 기간을 나타내는 시기인듯 하다.
나이에 대한 기준은 현대인을 기준으로 한것이고, 실제 고대의 인도인들에게는 더 어리게 적용될수도 있을 것이다.)
2단계, 그리하스타(Grihastha 家住期),
결혼하여 가장이 되고, 제사의 의무와 선행을 수행하며 가족들을 모든 면에서 책임지고
옳은 길로 이끈다. 자녀들을 결혼시키는 책임을 다하는 것까지 포함된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황금기인 20대에서 60대까지의 시기로 보이며, 결혼과 책임을 다하며 이시기를 보내는 것을
최고의 덕목으로 꼽는다.)
3단계, 바나프라스타(Vānaprastha 林住期 林棲期),
숲속에서 엄격한 금욕을 수행하는 은둔기(隱遁期)로서,
숲에서의 수도 생활(vanaprastha avastha)을 하는 이시기에는 인적이 드문 숲으로 들어가
세상과 나 자신, 그리고 자녀들을 위해 수도 생활을 한다.
(3단계와 4단계의 구분이 참 모호하지만 굳이 나눈다면, 3단계는 60대이후부터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인생의 황혼기를
지혜롭게 보낼수 있도록 사회와 떨어진 외진 곳에서 명상이나 수행을 통해 지혜를 축척하는 시기정도로 보여진다.)
4단계, 파리브라자카(Parivrājaka 遊行期)
인생의 마지막 단계로서 방랑걸식(放浪乞食)하며 영혼의 해방을 추구하고
유행(游行)하는 산야신(Sannyāsin)이자 비구(Bhikshu)로서의 인생관이 그것이다.
(연령을 정하는 것이 모호한 시기이다. 3단계를 통해 지혜가 축척된 사람이 그 지혜를 다시 사람들과 나누고
죽음을 준비하며, 삶의 마지막 여정을 아름답게 마무리하는 시기인 것 같다.)
- 인도의 인생관 중에서 가장 특이한 부분은 2단계인 것 같다.
2단계의 시작이 결혼과 동시에 가장이 되고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는 성인이 되는 것이라면,
2단계에서 3단계로 넘어가는 기준이 결혼에 대한 의무를 다하는 것에 있다.
결혼의 의무란 것도 범위가 굉장히 넓은데,
배우자와 가족에 대한 의무뿐 아니라, 자식을 옳은 길로 이끌고 결혼을 시키는 것까지이다.
자식을 다 키워 2단계에 진입시키는 것까지가 2단계가 마무리 되고 3단계가 시작되는 조건인 것이다.
어찌보면 참 바람직한 인생관이 아닐수 없다, 과연 이대로 잘 실천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지만...
3단계가 시작되면 숲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자식에 대한 간섭은 이미 끝난 것이며
2단계의 의무를 다하고 3단계에 진입한 사람은 이제 진정 자신을 위해 시간을 보낼수 있게 된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자신을 위한 시간이 너무 늦게 시작되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그리고 3단계와 4단계의 경계가 상당히 모호한데 이는 아마도 사람마다 깨우침이 다르기 때문은 아닐까 생각된다.
나이들어서 수도생활을 하는 것은 어찌보면 정신과 육체건강에 매우 좋은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 4단계가 되는 것일까?
수도생활이 지겨워져서 여행을 시작하면? 그럼 인도에서 여행자는 모두 환갑을 훨씬 넘은 노인들 밖에 없다는 이야기인데
3단계는 여행다닐수 있는 체력을 기르는 단계가 되는 것인가? 진정 이것을 실천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재미있는 점은 오래살아야 4단계까지 다 해보고 죽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내면의정복자와 응시,관찰] > ♡♥ 명상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잠 명 상 _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는 방법 (0) | 2012.04.05 |
---|---|
[스크랩]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웃음명상 5단계 (0) | 2012.04.05 |
[스크랩] 명상의 말씀 (0) | 2012.04.05 |
분노를 다스리는 명상법 (0) | 2012.04.05 |
[스크랩] 알아차림 명상과 실습방법 (0) | 2012.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