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 빛보내기]/등산

[스크랩] 손상되면 회복되지 않는곳. 무릎연골의 유용한 정보

가야트리샥티 2012. 4. 27. 15:24

■ 무릎연골이란?

 

- 무릎은 관절연골이 위쪽 뼈(대퇴골)와 아래쪽 뼈(경골)의 표면을 각각 3~4mm 정도의 두께로 감싸고 있다. 관절은 하중을 받으며 움직이는 곳으로 특히 무릎과 같은 다리의 관절은 서기, 걷기, 계단 오르기 등의 일상적인 동작에 의해 체중의 몇 배나 되는 힘이 가해지는 곳이다. 보통의 속도로 평지를 걷고 있을 때 무릎에는 순간적으로 체중의 5~7배의 힘이 가해진다고 한다.

 

- 무릎은 신체의 여러 관절 중에서도 가장 강한 힘을 받는 관절이다. 그러나 관절에서 연골끼리의 마찰은 도무지 인간이 만들 수 없을 정도의 적은 마찰밖게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관절 연골의 적은 마찰계수 덕분인데 이것으로 해서 하루에 몇 천 번, 한 평생으로 따지면 몇 백만 번 무릎을 굽히고 펴도 뼈 자체는 닳지 않게 되는 것이다.

 

- 연골은 뼈와는 달리 성분에 칼슘이 들어 있지 않다. 따라서 뼈보다는 탄력성이 있고 타이어 고무 정도의 부드러움이 있다. 연골에는 프로테오클리칸 (proteoglycan)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끈적끈적한 점성이 있는 물질로 단백질의 일종이다. 뼈는 피의 순환이 매우 활발한 조직이지만, 연골에는 피가 흐르지 않는다.

 

 

- 이러한 사실이 연골이 일단 상처를 입거나 닳게 되면 더 이상 회복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주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모든 조직은 혈액이 공급해 주는 영양분이 있어야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무릎연골에 관한 유용한 정보

 

▶ 연골손상 시에 나타나는 증상
무 릎관절의 연골이 손상되면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을 구부릴때 통증이 있으며 무릎에 자주 물이 차게 된다. 심할 경우 무릎에서 뼈가 맞닿는 느낌이나 소리가 날 수도 있고,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씨에 악화되기도 하며, 간혹 약간 좋아졌다가 다시 나빠지기도 한다.

 

▶ 연골손상의 원인
무릎관절은 인체 내에서 가장 큰 관절이면서 구조상 매우 불안정한 관절이다. 연골손상의 원인으로 교통사고, 스포츠 손상, 반복적인 충격 등을 꼽을 수 있으며, 젊은 연령에서는 농구, 축구, 스키와 같은 스포츠 손상이 많다. 고연령층에서는 반복적인 충격과 노화로 인한 연골약화가 가장 큰 원인이며, 구부리는 자세는 무릎관절의 연골에 부담을 많이 주는 자세이기 때문에 걸레질이나 농사일을 많이 하는 우리나라 여성에게서 연골손상이 흔하다. 비만으로 인해 체중이 많이 나갈 때에도 무릎연골에 부담이 커지므로 연골이 손상 될 확률이 높다.

 

▶ 연골손상의 진단
연골손상은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는 진단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환자의 병력, 손상기전 등에 대한 세밀한 문진과 정밀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최근에는 자기공명영상검사(MRI)로 연골손상 진단의 정확도가 많이 높아졌다. 그러나 자기공명영상검사로도 연골손상을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관절경 검사를 시행한다. 관절경은 관절내의 병변을 직접 보면서 검사하기 때문에 연골손상의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고, 결론적으로 자기공명영상검사와 관절경 검사로 연골손상을 100% 진단할 수 있다.

 


■ 무릎 연골및 관절 손상 예방 십계명

 

1. 무릎을 꿇거나 쪼그려 앉지 않는다.
2. 심하게 뛰거나 갑작스런 방향 전환이 많은 운동은 피한다.
3. 평소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자전거 타기, 걷기 등의 허벅지 근육 운동을 자주 한다.
4. 평소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비만의 경우 체중을 줄여 무릎의 부담을 줄여준다.
5. 신발은 쿠션이 있는 것을 신는다.
6.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서 있지 않는다.
7. 무거운 물건은 들지 않는다.
8. 일이나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과 관절의 긴장을 풀어준다.
9. 자신의 골밀도를 알아보고 필요한 비타민과 칼슘을 충분히 섭취한다.
10. 관절이 손상된 경우 민간요법 등에 쉽게 현혹되지 말고 관절치료 경험이 많은 전문의에게 상담한다.

 

 


<무릎관절 / 연골에 좋은 운동>




출처 - http://blog.naver.com/iloveseran?Redirect=Log&logNo=40044599591

 

출처 : 有
글쓴이 : 방긋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