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정보자료]/심리&혈액형&점성

[스크랩] 머레이 - 욕구(need), 압력(press), 주체(thema)라는 개념

가야트리샥티 2012. 8. 29. 11:48

 

 

머레이 - 욕구(need), 압력(press), 주체(thema)라는 개념

 

 

*머레이는 욕구(need), 압력(press), 주체(thema)라는 개념으로 인간행동을 설명하려고 함.

욕구 need

욕구는 한 사람의 마음 속에서 우러나는 것으로서 크게 장기 腸器 발생적 욕구(1차적 욕구 또는 생리적 욕구)와

심리발생적 욕구(2차적 욕구 또는 심리적 욕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11가지의 생리적 욕구와 (성욕과 감각 욕구, 물, 공기, 음식, 위험 회피)

28가지의 심리적 욕구(살고자 하는, 사랑하고 사랑받고자 하는, 자신이 중요하다는 느낌을 받고자 하는,

다양성을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이차적 욕구는 일차적 욕구와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일차적 욕구에서 부차적으로 발생하고

이차적 욕구는 정서적 만족과 관련이 있다

·반응적 욕구와 발생적 욕구

반응적 욕구-환경에서 특별한 사물에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고 오직 그 대상이 존재할 때만 발생.

발생적 욕구-특별한 대상의 존재와 상관없이 환경으로부터 독립되어 욕구가 발생 될 때 마다 적절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자발적인 욕구

·외현적 욕구와 잠재적 욕구

외현적 욕구(객체화된 욕구; 의식하는 의도나 소망과 상관없이 행동이 실제 대상을 향하 는 욕구)-굴종, 성취, 유친, 공격, 자율, 지배, 보살핌, 의존과 우월, 방해, 반항, 존 경, 노출(과시), 피해 회피, 모욕 회피와 불가침, 질서, 놀이, 거부와 은둔, 감각, 성 (sex), 이해 등.

잠재적 욕구(주체화된 욕구)-욕망, 유혹, 계획, 환상, 꿈

욕구의 표기는‘n'; Dom, dominance(지배욕구)로 나타냄.

* 욕구의 특성

욕구의 우세성-행동을 유발하는 긴급성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름.

욕구의 융합-어떤 욕구들은 서로 보완적이고, 단일 행동을 통해 충족될 수도 있고 일련의 여러 행동들에 의해 충족 될 수 있음.

보조의 개념-어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다른 욕구를 활성화하는 상태를 말함.

압력 press

압력은 외부에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것으로서, 크게 ∂압력과 β압력이 있다

∂압력은 현실적으로 나에게 압력을 주는 상황이나 사람이 존재하는 압력을 말하고

β압력은 현실적으로 나에게 압력을 주는 사람이 존재하든 안 하든 '내가 지각하고 있는 압력'을 말한다

예컨대 누군가 나를 해치려 하고 모함하는 사람이 있을 때 나는 ∂공격압력을 받고 있는 셈이고,

누군가 나를 나를 해치려하고 모함하는 사람이 있다고 지각하는 것은 β공격압력을 받고 있는 셈이다.

만일 ∂공격압력과 β공격압력이 일치하지 않으면 즉, 실제로 나에게 해를 가하거나 모함하는 사람이나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누군가 나를 해치려고 해, 누군가 나를 모함하고 있어"라고

지각하고 있다면 문제는 심각하다.

이 두 압력 가운데, 인간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β압력이다

(실제로 β압력 즉 내가 느끼는 압력때문에 힘들어 하는 사람이 더 많다고,

이 베타압력을 왜곡된 인식의 전환이나, 의식적으로, 성찰을 통해 전환, 해결, 바꿀수있다는 )

주체 thema

주체는 욕구와 압력을 형식적으로 연경해 놓은 개념으로서,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공격압력을 받으면 공격욕구를 발생시키지만, 다른 사람은 공격압력을 받더라도

공격욕구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목종욕구를 발생시킨다.

이때 각각의 사람이 나타내 보이는행동의 차이는 욕구와 랍력의 연결 즉, 주제가 다르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쉽게 말하여 주제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성격'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출처 : 성공으로 가는 자기최면
글쓴이 : 마음치료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