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Apricot) [과명] : 장미과 [꽃점] 경솔하다거나 무분별하다는 말을 아주 싫어하는 사람입니다. 인간 관계는 믿음이 기본입니다. 스스로 그렇게 되려고 노력하고 있군요. 그러나 '사랑은 맹목.' 아무것도 안 보이게 되죠. 당신의 머리속에 든 기준을 잠시 옆으로 제쳐 놓고 스스로에게 정직해진다면 훌륭한 사랑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유래]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핵과(核果). 날것으로 먹거나 가루반죽에 넣어 요리하거나 통조림을 만들기도 하고 건조시켜 보존가공하기도 한다. 나무가 크고 넓게 퍼지며, 심장 모양의 잎은 암록색으로 잔가지에 곧게 달린다. 꽃은 활짝 피면 흰색을 띠며 매우 짧은 줄기의 마디에 한 송이, 또는 두 송이씩 핀다. 열매는 꽃이 피어 있는 동안 제꽃가루받이를 한 뒤 맺히며, 과육 속에 들어 있는 핵은 부드럽고 서양자두와 다소 비슷하지만 폭이 더 넓고 약간 납작하다. 몇몇 변종들은 열매가 거의 각이 없이 둥글거나 긴 타원형이며 약간 납작하지만 대개는 모양이 복숭아와 더 비슷하다. 익으면 털이 거의 없어지거나 아주 없어진다. 과육은 일반적으로 짙은 노란색에서 노란빛이 도는 오렌지색을 띤다. 몇몇 변종의 씨는 달콤하지만 유독한 것도 있다. 중국이 원산지로 중앙 아시아와 남동 아시아의 모든 지역, 유럽 남부와 북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 심고 있다. 18세기초 스페인 선교사들이 캘리포니아 남부 지방으로 들여간 열매 중의 하나인 것이 확실하며, 미국과수원예학회(American Pomological Society)는 1879년 미국에서 재배했던 11개 변종을 목록으로 만들었다. 복숭아나 살구나무 대목, 또는 복숭아, 서양자두, 살구나무에다 눈접[芽接]을 해 번식을 시키는데 접목시키기가 쉽다. 물이 잘 빠지는 양토질의 땅에서 잘 자라는데 단단한 곳보다는 무른 곳이 좋다. 대부분의 변종들은 복숭아만큼 겨울 추위를 잘 견디지만 복숭아의 꽃눈보다 더 빨리 벌어지는 꽃눈은 늦추위에 종종 죽기도 한다. 나무는 가뭄에도 잘 견디며 적당한 조건에서는 100년 이상을 사는 것도 있다. 최대 생산국은 스페인이며 이란·시리아·미국·프랑스·이탈리아 및 유럽 중남부 등에서 생산된다. 비타민 A가 풍부하며 천연당류의 함유량이 높다. 말린 살구는 철분의 매우 좋은 섭취원이다. 한국에는 〈삼국유사〉에 살구꽃을 보고 봄이 깊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는 대목이 있는 점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살구를 심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른봄에 꽃이 아름답게 피며, 여름에는 과실이 열리기 때문에 관상수로서뿐 아니라 과수로도 훌륭하다. 살구씨 말린 것을 행인(杏仁)이라고 하여 진해·천식·호흡곤란·신체부종 등의 치료에 쓰는데, 서양에서는 수증기로 증류해서 만든 수용액인 행인유를 연고제나 주사약으로 쓴다.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역에서 야생하며,전역 마을 부근에서 재배하는데, 4월에 연분홍색의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6~7월에 열매가 노란색 또는 주황색으로 익습니다. 구약성서에 등장하는 에덴 동산의 금단의 과일을, 흔히 사과라고들 생각합니다. 이렇게 묘사된 사과가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바로 그 사과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습니다. 성서에서 표현된 사과에 어울리는 것으로 오렌지, 시트론 등 몇 가지가 언급되고 있으나, 가장 적합한 것은 살구라고 합니다. 어차피 에덴 동산의 선악과라는 것은 현실의 사과나 살구는 아니죠. 그건 특별한 나무였으니까요. 내용출처 : 이광, 박영태(계명대, 화학과), "구약성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 <화학세계> 1999년 6월호 [전래] [전설] 이른봄 담 한 녘에 핀 파리한 살구꽃은 삭막했던 겨울의 메마른 정서를 달래주는 더할 수 없이 요염하고 사랑스러운 꽃입니다. 누가 뭐라 해도 산간 농촌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이 바로 이 살구꽃이기 때문입니다. 살구꽃에는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고사도 얽혀 있습니다. 옛날, 후한의 재상 조조가 뜰에 살구나무를 심어 두고 소중히 하는데, 어찌된 일인지 매일 열매가 줄어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머슴을 모두 모아 놓고 이 맛없는 개살구나무를 베어 버리라고 하였습니다. 그랬더니 한 머슴이 "이 살구는 참 맛이 좋은데 아깝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조조는 살구를 훔친 도둑을 잡았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
第 1 道 - 言道,
老人은 말의 數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第 2 道 - 行道
老人은 行動을 느리게 하되 行實은 愼重해야 한다.
第 3 道 - 禁道
老人은 貪慾을 禁하라. 慾心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第 4 道 - 食道
老人은 먹는 것으로 산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第 5 道 - 法道
삶에 規模를 갖추는 것이 豊饒로 운 삶보다 眞實하다.
第 6 道 - 禮道
老人도 젊은이에게 갖추어야 할 禮節이 있다.
待接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第 7 道 - 樂道
삶을 즐기는 것은 慾望을 채우는 것에 있지 않다.
簡潔한 삶에 樂이 있다.
第 8 道 - 節道
늙음이 아름다움을 잃는 것은 아니다.
節制하는 삶에 아름다움이 있다.
第 9 道 - 心道
人生의 結實은 마음가짐에서 나타낸다.
마음을 비우면 세상이 넓어 보인다.
第 10 道 - 忍道
老人으로 살아감에도 忍耐가 必要하다.
참지 못하면 妄靈이 된다.
第 11 道 - 學道
老人은 經驗이 豊富하고 터득한 것이 많다.
그러나 배울 것은 더 많다.
第 12 道 - 棄道
손에 잡고 있던 것 들을 언제 놓아야 하는지
이것이 老人의 마지막 道이다.
![]() >
|
'[자연에 빛보내기] > 꽃과 자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나라 야생화 백과 (0) | 2013.04.11 |
---|---|
[스크랩] 멜리사(balm) - "동정" (0) | 2013.04.10 |
[스크랩] 젓나무(Fir) (0) | 2013.04.10 |
[스크랩] 버섯 사진 (0) | 2013.04.04 |
[스크랩] 꽃 모양에서 유래된 꽃의 이름들 (펀글) (0) | 201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