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 YOU Be My Valentine? 제 연인이 되어 주실래요?
With February 14th fast approaching it’s that time again, in many cultures, for lovers to express their love for each other with cards, flowers and miniature candle holding cupids! Millions of the ‘shy and nervous’ will pluck up the courage to declare their love and ask for another’s affections with the big question, “Will you be my Valentine?” It appears that no one quite knows exactly when the Valentine’s Day ‘invitation to love’ started! It seems somewhere back in ancient Roman times there were some early Christian martyrs named Saint Valentine whose name has echoed through the ages as it gradually became to synonymous with love and romance.
여러 문화에서 2월 14일이 가까워지면 연인들은 또 다시 서로에게 카드나 꽃, 큐피드가 달린 작은 초 같은 걸 보내서 상대방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다. ‘수줍고 과민한’ 수백만 명이 용기를 내서 자기 사랑을 선언하고 상대방에게 ‘저의 사랑을 받아주시겠습니까?’ 라는 중대한 질문을 던질 것이다. 발렌타인 데이의 이런 ‘사랑으로의 초대’가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 듯하다! 고대 로마에 초기 기독교 순교자들 중에 발렌티누스라는 성자가 있었던 것 같은데, 그의 이름이 여러 세기에 걸쳐 전해지는 동안에 점차 사랑과 로맨스의 동의어로 사람들의 뇌리에 새겨져서 메아리 치는 듯하다.
In a recent interview with the Mallorca Magazine (in German) the 14th February inspired ‘fourteen’ questions. Somehow it seems unlikely the answers will be echoed quite so far and wide. Yet it’s always useful to explore one of the favourite topics in every culture.
필자는 최근 독일어판 마요르카 잡지사와 인터뷰를 가졌는데 2월 14일에서 영감을 얻어서 ‘14’가지 질문을 주제로 대담을 나눴다. 답변을 하고 나서 보니 왠지 필자의 답이 별로 멀리 또 널리 사람들의 마음에 반향을 일으킬 것 같진 않다. 하지만 어떤 문화에서 즐겨 다뤄지는 주제를 탐구해 보는 일은 언제나 유용하므로 여기에 그 내용을 소개한다.
1.What does St Valentine’s Day mean to you? 당신에게는 발렌타인 데이가 어떤 의미입니까?
At the risk of extracting the soft, fragrant and romantic heart out of an opportunity to declare our love for another it seems that gradually, over the decades, St Valentine’s Day has become less and less to do with love. Apart from the many authentically unconditional ‘gestures of giving’, it has obviously become another annual festival which attempts to turn something that is truly spiritual and humanly profound into just another commodity from which to profit. And I suspect that the love referred to during gestures inspired by Valentines’ Day are not really love but more to do with personal ‘desire’ and/or an affirmation of ‘possession’. I say this after many years of research into the truth about love and the discovery that it seems ‘love’ is a word we use a lot, but in most instances we really ‘mean’ something else!
발렌타인 데이는 우리 내면에서 보드랍고 향기로우며 낭만적인 심정을 어렵사리 끌어내어 서로에게 사랑을 선언한다는 위험을 무릅쓰는 기회였는데, 몇 세기가 흐르는 동안 사랑과는 점점 더 관련이 적어졌습니다. 아무 조건 없이 진정으로 ‘준다는 제스처’가 많지만, 그것과는 별도로 이날이 연례적인 축제로 변질되어, 영적이고 인간적으로 심오한 무엇을 그저 당연하게 영리를 얻을 기회로 만들려는 축제의 하나가 된 것이 명백합니다. 그리고 제가 보기엔 발렌타인 데이에 고취되어 사랑인 양 표현되는 제스처는 정말은 사랑이 아니라, 보다 더 개인적인 ‘욕망’ 또는 ‘소유’에 대한 확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이 말을 하는 이유는 여러 해 동안 사랑에 대해서 연구조사를 해온 결과 우리들이 비록 ‘사랑’이란 말을 아주 많이 쓰긴 해도, 태반의 경우에 그것이 진실로 ‘의미하는’ 바는 사랑과는 다른 어떤 것임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2. In your book ‘The 7 Myths about Love’ you explain many misconceptions / misinterpretations about ‘Love’. What do you consider as people's main confusions about ‘love’? 당신의 저서 <사랑에 관한 7가지 근거 없는 믿음>에서 당신은 ‘사랑’에 대한 여러 가지 잘못된 관념과 해석들을 설명했는데요. 사람들이 ‘사랑’에 대해서 주로 어떤 것을 혼동한다고 보십니까?
The main confusion is that love is something that has to be acquired from outside our self. This is what underlies the habit of craving the attention, approval and acceptance of others. It means some kind of sorrow is inevitable when we don’t always get what we want from others. Love is also confused with attachment. But if we are just a little self aware when we become attached to anything or anyone we will notice the emotion of fear arises - fear of loss or damage - and fear is the opposite of love. It’s fear that chases love away. Fear is stress. That’s also why we are each entirely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our own stress.
사랑이란 우리가 외부에서 획득해야 할 무엇이라고 여기는 것이 제일 큰 혼동이에요. 이로 인해서 남들의 관심, 인정, 수용을 갈구하는 습관이 생깁니다. 이는 우리가 남들에게서 원하는 걸 언제든 얻지 못하면 어떤 종류의 슬픔이든 불가피하게 겪어야 한다는 뜻이죠. 사랑은 또 애착과도 혼동됩니다. 그렇지만 만일 우리가 어떤 대상물이나 사람에게 애착이 느껴진다 싶을 때 조금만 자아를 인식하면 거기서 두려움이라는 정서가 올라온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입니다. 손실이나 손상에 대한 두려움인데, 두려움은 사랑의 정반대죠. 사랑을 쫓아버리는 게 바로 두려움이니까요. 두려움은 스트레스에요. 스트레스를 창출해내는 것이 전적으로 우리들 자신에게 달려 있는 이유이기도 하죠.
3. What role do advertisements and movies play as a ‘source’ for all these misconceptions of love? 사랑에 대한 이런 잘못된 개념을 심어주는 ‘원천’으로 광고와 영화들이 한 역할은 무엇입니까?
There are two industries in the world that sustain the many myths about love - entertainment and marketing. It’s their job to keep us under the spell that love is ‘required’ and that it can be ‘acquired’ and that attachment is necessary to find happiness. The entertainment industry keeps alive the myth of romantic love which says that you have to find the ‘perfect mate’ to find love. And it’s the role of marketing to influence and encourage our attachment to ‘the product’, to ‘fall in love’ with their creation!
사랑에 대한 여러 가지 잘못된 신화를 지속시켜주는 산업이 두 가지인데 하나는 연예계이고 또 하나는 마케팅 산업입니다. 사랑이 꼭 ‘필요하며’ 그것은 ‘획득될’ 수 있고, 행복을 찾으려면 애착이 필요하다는 둥 우리를 홀려서 마법에 묶어두는 것이 그들의 사업이죠. 연예계는 사랑을 찾으려면 자신의 ‘완벽한 반쪽’을 찾아내야 한다며 낭만적인 사랑이라는 거짓 신화가 시들지 않도록 계속 살려나갑니다. 마케팅의 역할은 ‘상품’에 대해서 우리가 애착하게끔 부추기고, 그들이 만들어낸 것에 우리가 ‘사랑에 빠지도록’ 영향을 행사하는 것이죠!
4. Why are people so addicted to emotional stimulation? 사람들은 왜 그토록 정서적 자극에 중독되는 걸까요?
All emotion (love is not an emotion) comes from some form of attachment. The three main ‘families of emotion’ are fear, anger and sadness. If you activate your ‘inner detective’ in the form of your self awareness, you would find that each of these three emotions always have their roots in attachment to someone or something. And these are the emotions that constitute all human suffering at mental and emotional levels. But we have come to believe they are natural so we don’t do anything to free our self from our emotional suffering. Then we just become attached to these emotions believing that they make us feel alive. In truth they are different forms of unhappiness that we unknowingly use to kill our freedom of spirit and to sabotage our ‘lightness of being’.
정서는 (그러나 사랑은 정서가 아닙니다) 어떤 형태의 정서든 모두 애착에서 비롯됩니다. ‘정서의 가문’에 속하는 주된 세 가지가 두려움, 화, 슬픔인데요. 자아인식이라는 ‘내면의 탐정’을 작동시키면 이 세 가지 정서의 뿌리가 누군가 또는 어떤 것에 대한 애착에 있다는 걸 발견할 겁니다. 바로 이 세 가지가 정신적 또는 정서적 차원에서 모든 인간이 겪는 고통을 이루는 정서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것들이 자연스러운 감정이라고 믿기 때문에 스스로 정서적인 괴로움에서 벗어나 보려는 어떤 일도 하지를 않아요. 그리고 나서는 그런 정서들 자체에 애착을 갖게 됩니다, 그런 정서들이 우리가 살아 있는 듯이 느끼게 해준다고 믿는 것이죠. 사실 그런 것은 다양한 형태의 불행이고, 우리들은 본인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유로운 정신을 말살하고 ‘존재의 가벼움’을 방해하는 데 그런 것들을 사용합니다.
5. The divorce-rate has increased immensely during the last few years - what do you consider the main reasons for this development? 최근 몇 년 사이에 이혼율이 엄청나게 늘었는데요. 이 추세의 주된 이유를 뭐라고 보시는지요?
Many people enter what you might call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wrong motive. They want something from the other for themselves. They want and expect the other to ‘make them happy’. This is a big mistake. Life is not set up for others to make us happy but for us to find the inner strength and resources where we generate our own happiness, our own contentment. But don’t say it too loudly to anyone in the ‘happiness industry!’ They are likely to make themselves somewhat unhappy at such an idea! Such is the power of the illusion.
잘못된 동기를 갖고서 소위 ‘친밀한 관계’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들은 상대방에게서 자기를 위한 뭔가를 원하죠. 상대방이 자기를 ‘행복하게 만들어’ 주기를 바라고 기대합니다. 이건 중대한 실수에요. 남들이 우릴 행복하게 만들어주려고 인생이 있는 게 아닙니다. 인생은 우리가 자기 내면에서 힘과 원천들을 찾아내서 본인의 행복과 충족감을 이끌어내도록 설정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 얘길 저 ‘행복 산업계’에 종사하는 분들에겐 너무 큰소리로 말하지 마세요! 그 분들은 그런 얘길 들으면 좀 언짢아질 가능성이 크니까요! 그런 게 착각의 힘이죠.
6. What are the most important / clearest signals in my relationship to another person, that our connection is NOT based on ‘love’? 다른 사람과 나의 관계가 ‘사랑’에 기반을 둔 것이 아님을 알려주는 가장 중요하고 분명한 신호는 무엇입니까?
The first sign that love is absent is usually a moment of irritation with the other when they do not meet our expectations or desires. This irritation, if not checked, will grow into frustration and ultimately into anger. Anger is the emotion behind all conflict and ultimately war. Unfortunately most people have learned to believe that the ‘moments of anger’ are part and parcel of being in a relationship. It’s another mistake. Anger (irritation/frustration) is a sign that we have lost our connection with our inner peace and inner power, which is the true nature of every human being. When we reconnect with our inner peace and inner power, free of wanting anything outside our self to make us ‘feel’ peaceful, then we can give of our self without condition, which is love.
사랑의 부재를 나타내는 첫째 표시는 우리가 기대하거나 원하는 대로 상대방이 하지 않으면 대개 짜증이 난다는 것이죠. 이 짜증을 점검하지 않으면 그것이 자라서 불만이 되고 궁극적으로는 분노가 됩니다. 모든 갈등의 배후에는 분노가 있고 그게 결국 전쟁이 되죠.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모든 관계에서 ‘화나는 순간’이 본질적으로 반드시 있기 마련이라고 배웠는데요. 이 또한 잘못이죠. 화(짜증 또는 욕구불만)는 우리가 모든 인간 존재의 참된 본성인 내면의 평화, 내면의 힘과 연결을 잃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자기 외부에서는 아무 것도 원하는 것 없이 내면의 평화, 내면의 힘과 연결될 때 우리는 조건 없이 자기 자신을, 즉 사랑을 줄 수가 있습니다.
7. What characterizes a relationship based on love? 사랑에 기반을 둔 관계에는 어떤 특성이 있나요?
Some of the signs of a love based relationship would include total freedom from emotional and mental dependency on the other. There would be an absolute and unwavering respect for each other and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of each other as they are now and as they may wish to grow and change as a human being in the future. This will be underpinned by a genuine care for the other, a care that may, at times, include leaving them alone.
사랑에 기초한 관계를 알려주는 표시 중 한 가지는 상대방에게 정서적 심리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완전한 자유입니다. 현재에도 그렇고 앞으로 그들이 소망하는 바에 따라 더 성장해서 인간존재로서 달라진다 해도 아무런 조건 없이 절대적이고 확고부동 하게 존중하며 있는 그대로 서로를 수용하지요. 상대방을 진심으로 배려하는 것, 정말로 배려해서 때로는 그들을 가만히 내버려둘 수도 있는지 여부를 보면 이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8. What should children watch / experience in their parents behaviour in order to b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for love as much as possible? 자녀들에게 사랑하는 능력을 가능한 대로 많이 키워주려면 부모의 어떤 행동을 지켜보거나 경험하게 해야 할까요?
Well it seems many parents sabotage their children’s ability to know and express love but don’t realise they are doing it. It’s those moments when they say to the child that if the child does what mummy or daddy wants then they will be happy with the child and approve of the child i.e. the child will be on the receiving end of a warm wave of energy from the parent which they learn to identify as love. But if they don’t do what they want then mummy and daddy will be very unhappy and withdraw their approval. In those moments the child learns that a)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parent’s happiness and b) that love is conditional and it comes from big people, from authority figures. You probably couldn’t think of a worse start to life. But it appears to be common to all cultures. So it becomes obvious how a parent needs ‘to be’ in order to teach love. And that is Be Love! Which means a good parent would never get angry towards their child and would never be dependent on their child for their own happiness. That’s easy isn’t it!?
그게… 사랑을 알고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지 못하게 자녀들을 방해하는 부모가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본인들은 그걸 깨닫지 못하면서 그러죠. 그게 언제인가 하면, 아이에게 네가 아빠나 엄마가 원하는 일을 하면 우리가 행복해질 거야, 라고 말하며 아이를 인정해주는 그 순간입니다. 다시 말해 아이는 부모에게서 나오는 따사로운 에너지의 파동을 받는 입장인데, 그때 아이는 그걸 사랑과 동일시하는 법을 배우죠. 엄마나 아빠가 원하는 대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들이 언짢아하며 그들의 인정을 거두어들이겠죠. 그럴 때 아이는 가) 부모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자기의 책임이며, 나) 사랑이란 조건적인 것이며, 큰 사람, 권위를 가진 인물들에게서 오는 것, 이라고 배웁니다. 인생을 이보다 더 나쁘게 시작할 방법은 생각할 수도 없을 지경인데요. 하지만 모든 문화에서 이게 공통이라는 것이죠. 그러니 사랑을 가르치려면 부모가 ‘어떠해야’ 할지 명백해집니다. 바로 사랑이 되라, 는 것이에요. 이 말은 좋은 부모는 아이한테 절대 화내지 않으며, 자신의 행복을 절대 아이에게 떠넘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쉽지요?
9. You emphasize that giving love is much more important than getting/ taking love. Why? 당신은 사랑을 받기보다는 사랑을 주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 왜 그렇습니까?
Well I think we all know that one of loves primary expressions is giving and not taking. That doesn’t mean we don’t receive.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aking and receiving. It’s all about intention. If the intention is to get something/someone just for myself it’s not love. When you receive gracefully and with gratitude then you are giving the other person the opportunity to give. That’s love in action.
글쎄요, 사랑의 주요한 표현이 취하는 것이 아니라 주는 데 있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 거에요. 그렇다고 우리가 받지 않는다는 뜻은 아닙니다. 하지만 취하는 것과 받는 것은 다릅니다. 의도가 다르죠. 나 좋자고 무언가 혹은 누군가를 취하려는 의도는 사랑이 아닙니다. 반면에 우아하고 고맙게 받는 것은 상대방에게 줄 기회를 당신이 주는 것입니다. 그것은 행동으로 옮겨진 사랑이지요.
10. Many people have also problems accepting love as friendliness or signs of affection from others - why is that? 남들에게서 호의, 또는 애정의 표시로 사랑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도 많은 듯합니다. 왜 그럴까요?
Many people have a heart that is a bit blocked and often frozen. That just means they believed they have been hurt by another in the past and that it might happen again. So they close the gates of their heart to others, perhaps just a little at first,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And then it becomes a habit. So they find it hard to receive, which just means ‘being open’ to the energy of others. The only way to fully open up is to realise that ultimately no one can ever hurt us or has ever hurt us. They may hurt our body but they can never hurt us! However to arrive at that place there has to be a few realisations along the way including a) you are not your body and b) you are fully responsible for all your thoughts and feelings and c) it was the ego that was hurt not the authentic self. This allows you to start to let go of the accumulated resentments that have built up from past hurts. Only then can you reclaim and ‘stand in your power’. Only then can you free your self from the habit of ‘reacting emotionally’ and choose your response. only then can you open your heart fully to others. But until we do life will not be a consistently happy and loving experience.
약간 폐색되었거나 종종 얼어붙는 가슴을 가진 사람들이 많습니다. 무슨 뜻인가 하면 과거에 남에게 상처 받은 일이 있었고, 그런 일이 또 일어날 수 있다고 그들이 믿는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남들에게 가슴의 빗장을 걸어 잠그죠. 처음엔 자신을 보호하려고 약간만 문을 닫아요. 그러는 동안 습관이 됩니다. 그러면 그들은 받기가 힘들어지죠. 남들의 에너지에 대해서 그저 마음만 ‘열면’ 되는데 말입니다. 완전히 활짝 여는 방법은 아무도 우리를 다치게 할 수 없고, 사실 그 동안에도 우리에게 상처를 입힌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 겁니다. 비록 우리 몸에는 상해를 입힐 수 있을지언정, 결코 우리를 다치게 할 수는 없어요! 하지만 그 수준까지 가려면 우선 몇 가지를 깨달아야 하는데 첫째는 가) 당신의 몸이 당신인 것은 아니다, 나) 당신의 생각과 감정은 전적으로 당신에게 달려 있으며 본인의 책임 소관이다, 다) 만일 상처를 입었다면 진정한 자아가 아니라 교만(에고)이 상처 입은 것이다, 이런 것들이죠. 이런 것을 자각하고 나면 그 동안 과거의 상처에서 쌓여온 울분을 내려놓을 수 있게 됩니다. 오직 그제서야 자신의 ‘힘을 지니고서’ 힘을 되찾을 수가 있어요. 오직 그제야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습관에서 자유로워져서 자신의 선택대로 반응할 수 있게 됩니다. 오직 그제야 남들에게 당신의 마음을 온전하게 열 수가 있습니다. 그때가 되기까진 우리에게 인생은 한결같이 행복하고 사랑이 가득한 경험만이지는 않을 것이다.
11. Why do many people find it difficult to love themselves? 자기 자신을 사랑하기 어려운 사람도 많은데 이유가 뭘까요?
You cannot love your self. It’s impossible. The myth of ‘you have to love your self’ comes out of a combination of some ancient ‘religious beliefs’ and more recent ‘new age thinking’. Think about it for a minute - I love my self - now which one is me the ‘I’ or the ‘self’? Are there two me’s? No, there is only one ‘I’ or one ‘me’ or one ‘self’? Most people are not so aware that when they try to love themselves they are a) trying to love a memory of what they have said or done, and ‘the self’ is not a memory b) trying to love an image they have of themselves and ‘the self’ is not an image or c) trying to love the face they see in the mirror because they believe they are their face. But few realise ‘I am not my face/body’ so this usually results in vanity at best or a compulsive narcissism at worst. When you give a gift ‘with love’ then you give with the energy of ‘the self’ which, in that moment, ‘is love’. Love is not something separate from the self. It is the self, it is the I, it is me. It is a state of consciousness and the ‘I‘, the ‘me’ is consciousness! When you realise this you also realise that you neither need to love your self nor can you love your self. And then you chuckle and get on with your life ...as love! But it doesn’t do any harm to keep trying. It only delays the realisation that love is what I am.
원래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는 없는 법입니다. 그건 불가능한 일이에요. “네 자신을 사랑하라’는 것은 그 옛날 ‘종교적 신앙’과 최근 ‘뉴 에이지 적인 사고’의 결합으로 나타난 것인데요. 잠시 이 문제, 즉 내가 나 자신을 사랑한다는 데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주체인 ‘나’ 또는 객체인 ‘자신’이라고 하는 나는 누구입니까? 내가 둘입니까? 아닙니다. ‘나’에게는 ‘내’가 하나, 또는 ‘자아’가 하나뿐이에요. 자기 자신을 사랑하려고 애쓸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 그들이 사랑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과거에 자신들이 말했거나 행했던 기억인데, ‘자아’는 기억이 아니라는 점, 나) 또는 그들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 즉 자아상을 사랑하려고 애쓰고 있는데, ‘자아’는 이미지는 아니라는 점, 다) 혹은 거울에 비치는 본인의 얼굴을 사랑하려고 애쓰는데, 자기가 곧 그 얼굴이라고 믿기 때문이라는 걸 깨닫지 못합니다. ‘나는 내 몸이나 얼굴이 아니다’라는 걸 깨달은 사람은 극소수뿐이어서 거의 없다 보니 사람들은 잘 하면 자기 외모에 대해서 허영심을 느끼는 정도지만, 최악의 경우엔 강박적인 나르시시즘(자기애)에 빠지죠. ‘사랑으로’ 선물을 줄 때 당신은 ‘자아’의 에너지를 주는데, 그 순간 당신은 곧 사랑입니다. 사랑과 자아는 별개가 아닙니다. 사랑이 곧 자아, 나, 자기입니다. 그것은 의식하는 상태이고, ‘나’ 또는 ‘자신’이 의식인 것입니다! 이걸 깨달으면 당신은 자기 자신을 사랑할 필요도 없고,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도 없다는 걸 더불어서 깨달아요. 그러면 당신은 혼자서 쿡쿡 웃고… 사랑으로서… 자기의 삶을 살아나가죠! 노력하고 애써서 크게 손해날 일은 없습니다만, 사랑이 곧 나 자신이라는 걸 깨닫는 게 지연되겠죠,
12. How can we experience more love in our life - not only in our relationship to other people, but also in daily life? 어떻게 하면 인생에서 더 많은 사랑을 경험할 수 있을까요? 비단 남들과의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말입니다.
Find a context in which you can be of service to others, where you can give of your energy without wanting anything in return. Then you will notice the old habits of wanting, taking and keeping start to atrophy and the new and fresh energy of your true nature starts to flow from inside out. Including the energy of generosity which is also love in action. And as it does it empowers both your self and others.
보답이나 돌려받기를 원하지 않으면서 당신의 에너지를 남들에게 줌으로써 봉사할 수 있는 상황을 찾아내세요. 그러면 원하고 취하고 간직해두던 낡은 습관이 위축되면서 당신의 참된 본성에 의한 새롭고 신선한 에너지가 내면에서 바깥쪽으로 흘러나가기 시작하는 걸 알아차리게 될 것입니다. 여기엔 관대함의 에너지도 포함되는데 이 역시 행동으로 화한 사랑이죠. 그렇게 흘러나가면서 그 에너지는 당신 자신과 남들에게 힘을 줍니다.
13. And almost lastly, what is your definition of love ? 마지막 질문인데요, 당신은 사랑을 어떻게 정의하십니까?
Well words can only ‘point towards’ love but can never capture love. The energy of love, as a state of consciousness, is prior to words and even prior to thoughts about love. So there are many ways to point at it. We each can find our own way. Here is one ‘pointer’:
글쎄요, 말이란 건 사랑을 향해서 ‘가리킬’ 뿐이지 결코 사랑의 정수를 담을 수는 없지요. 의식하는 상태로서 사랑의 에너지는 사랑이라는 말을 선행하고, 사랑에 대한 생각조차 선행합니다. 그래서 그걸 가리키는 방법이 많은 겁니다. 우리들 각자 자기 나름의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한 가지 ‘방향 지시’를 말씀 드리죠
Love is what you are, when you know your self as you are, which is no one! 당신이 누구인지 스스로를 알았을 때, 사랑은 곧 당신이다, 다른 누구도 아닌.
That sounds a bit scary but only because most of us never learn who we really are and how to just be! No one helps us to see we are not what we ‘believe’ we are. We are not what we do, we are not what we see in the mirror in the morning, and we are not our nationality or our race. These are all false identities. We are human beings. Beings within in a human form. We are conscious beings so in effect we are ‘consciousness’ and not form. That’s all. And our true nature is peaceful and loving. That’s it! That’s why it is said that people who don’t know how to be, try to be somebody! And that’s when our capacity to be at peace and to give of our self as love starts to slip away. Unfortunately it seems to be what has happened to us all to some degree or other. Fortunately many are now beginning to awaken to the simplicity of this truth and be their true self again. It‘s just that the truth about the self, about what we really are, ultimately cannot be captured by ideas and concepts, only realised as a state of consciousness, a ‘state of being’, within one’s self. 우리들 대부분이 결코 우리가 정말 누구인지 배우고, 그저 자기로 존재하는 법을 배워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 말이 약간 겁나게 들릴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라고 ‘믿는’ 그것이 우리가 아니라는 걸 아무도 우리가 알도록 도와주지 않죠. 우리가 하는 일이 곧 우리인 것이 아니며, 아침에 거울에 보는 것이 곧 우리인 것이 아니며, 우리의 국적이나 인종이 곧 우리인 것이 아닙니다. 그런 것들은 모두 가짜 정체성이에요. 우린 인간 존재입니다. 인간의 형체 안에 들어 있는 존재죠. 우리는 의식을 가진 존재이므로 결국 우리는 형체가 아닌 ‘의식’입니다. 그게 전부에요. 그리고 우리의 참된 본성은 평화롭고 사랑이 많습니다. 바로 그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존재할 줄 모르는 사람들은 누군가가 되려고 노력한다, 라는 말이 있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되려고 애쓸 때가 바로 평화로울 수 있는 우리의 능력, 우리 자신을 사랑으로 줄 수 있는 능력이 빠져 달아나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이런 일은 불행하게도 우리 모두에게 일어났던 것 같습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우리들 중 많은 수가 이제 이 단순한 진실에 깨어나서 다시 자기 자신이 되고 있는 겁니다. 우리가 정녕 누구인가 하는, 자아에 대한 진실, 이건 어떤 관념이나 개념으로도 정확히 포착할 수 없는 것이고, 오직 의식상태로서, 우리 자아 내면의 ‘존재 상태’ 로 깨달을 수 있을 뿐입니다. 14. Why do you think St Valentine’s Day has become so popular and do you now think it’s just a waste of time? 발렌타인 데이가 왜 이렇게 대중의 인기를 얻었고 지금은 왜 시간 낭비가 되었다고 생각하시는지요? We only search for something when we have lost that ‘something’. Once upon a time we collectively lost our awareness of true love, real love (though there is no such thing as unreal love!) and we replaced it with attachment, desire, possession etc. So we gradually seek more and more for the greatest treasure, the jewel in the crown, of the human spirit. St Valentine’s Day is both a great excuse and a growing expression of that search. I wouldn’t kill it. The romantic element is fun and many will break open the rusty gates of their heart and overcome their fear and declare their love for another. Better that than staying frozen and fearful behind wounded pride and the pain of the past. So for some it may help heal, for others it may help empower and for some it may be the moment that they truly connect with another human being for the first time. But I suspect for most it will only perpetuate the myth of romantic love as ‘the great love’ and strengthen the illusion that I may only know love when I am being loved. 우리가 뭔가를 찾는 건 오직 그것을 갖고 있다가 잃었을 때뿐입니다. 옛날 옛적에 우리들은 집단적으로 참된 사랑, 진짜 사랑 (사실 가짜 사랑이란 있을 수가 없는 것이지만!)에 대한 인식을 잃었고, 그 자리를 애착, 욕구, 소유 등으로 대신 채웠습니다. 그렇게 우리는 인간 영혼의 더 큰 보물, 왕관의 보석을 점점 더 추구해왔죠. 발렌타인 데이는 그러한 추구에 대한 큰 변명인 동시에 그 추구에 대해서 점점 더 증폭되는 표현입니다. 제가 그걸 말살하려는 건 아닙니다. 낭만적인 요소는 재미 있고, 이 기회에 녹슨 마음의 문을 깨부수어서라도 여는 사람도 많을 테고 두려움을 극복하고 서로에 대한 사랑을 선언할 겁니다. 상처 받은 자존심 과 과거의 상처 뒤에 숨어서 얼어붙은 채 무서워하는 것보다야 낫죠. 그러다 보면 치유에 도움 받을 사람도 일부 있을 테고, 또 다른 사람들은 이 기회에 힘을 얻기도 하고, 또 다른 사람들은 이럴 때 생전 처음으로 다른 인간 존재와 진정으로 연결되는 순간을 맛보기도 할 겁니다. 하지만 제 생각엔 이날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그저 낭만적인 사랑이 ‘멋진 사랑’이라는 엉터리 신화를 영속시키고, 내가 사랑을 받아야만 사랑을 알 수 있겠다는 착각만 더 강화시킬 것 같군요.
Question: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love and romance? 질문: 사랑과 로맨스(연애)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Reflection: How would you define/describe love? 성찰: 당신은 사랑을 뭐라고 정의 내지 서술하시겠습니까?
Action: Watch for authentic acts of love this week from others and from your self! 행위: 이번 주에 남들과 당신 자신에게서, 진정한 사랑의 행위를 찾아 보십시오. |
'[ 함께 깨어나기 ] > 마이크 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에게는 욕구의 위계가 있습니까?Do YOU Have a Hierarchy of Needs? (0) | 2012.06.19 |
---|---|
The Anatomy of Change 변화의 구조 (0) | 2012.05.31 |
존재감의 힘 (0) | 2012.04.17 |
The 7 Masks of Zorrow! 조로의 일곱 가면 (0) | 2012.03.27 |
How Present Are YOU? 당신은 얼마나 현재에 존재해 있습니까? (0) | 201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