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re do YOU Get the Power to Change? 변화할 힘을 어디서 얻습니까? You’re sitting in your car at the lights. Just as they turn to green someone cuts in front of you and speeds off into the distance. You are furious! What an arrogance! What an idiot…you think! You’re so mad you stop fifty yards ahead to cool down. A moment later someone drives up beside you and tells you that the person that cut you up at the lights had just heard their mother was taken critically ill to hospital. In one second your anger subsides. It collapses into understanding and compassion. In effect you become peaceful and you send loving thoughts of hope to that person. one little piece of information was enough for you to change your mindset and your feelings. 운전 중, 당신은 신호에 걸려 멈춰서 있다. 불이 막 녹색으로 바뀌려는 찰나, 누군가 당신 차 앞으로 끼어들어 쌩 하고 저만치 달려가버린다. 당신은 격분한다! 방약무인한 저 태도라니! 저 따위 멍청이가 다 있나, 라는 생각이 든다. 어찌나 열에 받쳤던지 50야드쯤 (대략 45미터) 달리다가 차를 세우고 마음을 진정시켜야 할 지경이다. 잠시 뒤 차 한 대가 옆으로 오더니 방금 전에 당신 앞에 끼어들어 내달린 그 차의 운전자는 모친이 중태에 빠져서 방금 병원에 입원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랬던 거라고 알려준다. 당신은 한 순간에 화가 가라앉는다. 화가 사라지자 이해와 온정이 대신 솟아난다. 그 결과 당신은 평화로워지면서 그 사람이 잘되기를 바라는 사랑의 생각을 그에게 보낸다. 단 하나의 작은 정보로 당신의 마음 자세와 감정이 이렇게 바뀔 수 있었다.
You could say that this is the ‘power of information’ but it’s not. It’s the power of belief. And who decided to believe? 이것을 ‘정보의 힘’이라고도 부를 수도 있겠지만, 실은 그게 아니다. 그것은 믿음의 힘이다. 누가 믿기로 결정했는가?
In such situations some people believe instantly the information that they receive. And they use it to change their perception and therefore their reaction. Other people, down the more cynical end of the spectrum, have the habit of not believing anything they are told. They have probably been frequently misled many times in the past. They don’t easily ‘trust’ what others say. Perhaps the majority of us sit somewhere in the middle of such a spectrum, sometimes believing blindly and sometimes being incredulously disbelieving. But most of the time not quite sure which way to swing. 그런 상황에서 정보를 듣는 즉시 그것을 믿는 사람들도 일부 있다. 또한 그것에 따라 자신들의 인식을 바꾸며, 따라서 그들의 반응도 바뀐다. 하지만 더 냉소적인 쪽에 속하는 사람들은 무슨 말을 듣든 믿지 않는 습관이 있다. 아마 과거에 여러 번 (거짓 정보에) 현혹되었던 일이 종종 있었을 게다. 그런 이들은 남들이 하는 말을 쉽사리 ‘신뢰’하지 않는다. 아마도 이 다양한 스펙트럼에서 우리들 대다수는 양극단의 중간 어디쯤 자리잡고 있으면서 때로는 맹목적으로 믿고, 때로는 의심하며 믿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엔 어느 쪽을 택해야 할지 몰라 할 것이다.
The Roots of Stress 스트레스의 뿌리 We do seem to live in a world where more people are prepared to tell lies and mislead others in order to serve their agenda. It’s a world in which creating successful strategies of misinformation is even celebrated. So how are we to sort the truth from fiction? How are we to disentangle half-truths based on others agendas and discern the accuracy of what we are told? In the above example how do we ‘know for sure’ that there is a critically ill mum in a hospital somewhere? There is only one way and it’s called ‘validation’. The only way to truly know is to go to the hospital and see for our self. only then does the need to believe or not believe become redundant. Now we ‘know’ for sure. 하기야 우리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짓말을 하려고 벼르며, 남들을 오도하여 제 의도를 달성하려 드는 세상에 살고 있는 듯이 여겨지는 게 사실이다. 심지어 사실과 다른 정보를 성공적으로 만드는 전략을 창안해내면 축하까지 받는 세상이다. 그러니 어떻게 해야 진실과 허구를 구분할 것인가. 남들의 의도에 토대를 둔 절반의 진실이라는 올가미에서 벗어나, 남들이 우리에게 하는 말의 정확성 여부를 판별할 것인가? 위의 예에서 우리는 중태에 빠져서 병원에 실려간 어머니가 어딘가에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해야 ‘확실하게 알’ 것인가? 여기엔 길이 단 하나뿐이며, 그걸 ‘확인(검증)’이라고 부른다. 유일한 방법은 우리가 직접 병원에 가서 보는 것이다. 오직 그 경우에만 믿어야 할지 여부가 불필요해지면서, 우리는 확실하게 ‘안다’.
The capacity to turn information into the power of belief and use it to change some of our thinking and perhaps some of our behaviours is something we can all do. But it can’t free us from our all our stress i.e. all our mental suffering or our emotional pain. The roots are too deep and cannot be reached by information and beliefs. The seeds and roots of our stress can be found at the spiritual level deep within our being. Information and beliefs can point to the heart of our being but they cannot go there. Information and beliefs can ‘signpost’ what lies behind our mental and emotional states but only the immediate ‘insperience’ of being there, can give us the power to deeply change the thought and feeling patterns that are causing our stress. Understanding why this is so also reveals why so few people seem to successfully and lastingly change the way they think, feel and act. Here is why. 정보를 믿음의 힘으로 바꾸는 능력, 그리고 그 믿음으로 우리의 사고와 어쩌면 행동까지도 일부 바꾸는 일은 누구든지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그것만 가지고는 우리가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워질 수 없다, 즉 정신적인 모든 고통과 정서적인 괴로움에서 해방될 수 없다. 뿌리가 하도 깊어서 정보와 신념만으로는 도달할 수가 없다. 스트레스의 씨앗과 뿌리는 우리들 존재 내면의 영적인 수준에서 찾을 수 있다. 정보와 신념들도 우리 존재의 핵심에 있다는 걸 가리킬 수는 있지만 거기까지 가지는 못한다. 정보와 신념들은 우리의 정신적 정서적 상태 뒤, 그 배경에 무엇이 있는지를 알려주는 ‘이정표’이긴 하되, 직접 거기에 있어본 ‘내면적 경험’만이 우리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사고와 감정의 패턴을 깊이 변화시킬 힘을 준다. 왜 이렇게 되는지를 이해하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을 성공리에 지속적으로 변화시킨 사람들이 왜 그렇게 극소수뿐인지도 알게 된다, 여기에 그 이유를 소개한다.
Seeking Relief 고통완화의 추구 After awakening in the morning most of us get up, look in the mirror, and believe that we are what we see. As we go through the day we will create stress in various emotional forms swinging between anxiety (fear) and frustration (anger) to moments of sorrow (sadness) mostly based on the belief that we are just a physical form in a physical world with no control over anything more than three feet away! We also carry the other learned beliefs that the stress is a) normal b) caused by someone else. We will look out into the world around us and see it as both a competitive and perhaps dangerous place, because that is also what many of us have been taught to believe. 아침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어나 거울을 보며 거기에 비친 것이 우리라고 믿는다. 하루를 지내면서 우리는 불안(두려움)에서 좌절(화), 그리고 슬픔(비애) 사이를 마치 그네를 타듯이 오가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를 만들 텐데 그러한 정서들은 우리가 1미터 이상 떨어진 그 어떤 것도 통제할 수 없는 상태로 물질세계에 살고 있는 물리적인 형체에 불과하다는 신념에서 나온다. 우리에게는 이 외에도 스트레스는 가) 정상이며 나) 다른 사람 때문에 생긴 것이다, 라는 것 등 학습된 신념들이 더 있다. 우리는 주변 세상을 바라보며 그것이 경쟁적이고 위험한 것이라고까지 인식할 텐데, 왜냐하면 우리들 대부분이 그렇게 믿도록 배웠기 때문이다.
At some stage in our life we will seek some kind of relief from our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stress/suffering. As we hunt for that relief, often with the hope of finding the ultimate solutions, we will encounter a thousand methods, techniques, approaches, philosophies not to mention saviours, all offering and many promising to…fix us! We are likely to encounter what some may call the ‘spiritual approach’. If we do we will probably receive the following information. ‘They’ will likely say that ‘in truth’ you are not a mortal and finite physical form in a process of continuous decay (as seen on Channel Mirror in the morning!) but a spiritual entity that is immortal, infinite and ageless. They will say they are only reminding us that our true nature is peaceful, loving and joyfully contented and not grumpy, prone to worry or depressed. And they will probably explain that the world is essentially a benevolent space in which all life forms exist in harmonious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t’s just that some species have forgotten how, including the majority of the human species! 삶의 어떤 단계에 이르면 우리들은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스트레스/괴로움을 완화시킬 방법을 찾게 될 것이다. 우리는 종종 궁극적인 해법을 발견하기를 바라며 그 고통경감의 방법을 구하는 과정에서 우리를 고쳐주겠다고 약속하며 제공되는 온갖 방법들, 기술들, 접근법들, 철학들을 수천 가지 만나게 될 테고, 심지어 구세주를 자처하는 자들마저 나타날 것이다. 또 일부 어떤 이들이 ‘영적인 접근방식’이라고 부르는 것도 만날 가능성이 있다. 그런 경우엔 혹시 다음과 같은 정보를 받게 될 수도 있을 게다. ‘그들’은 ‘진실로’ 당신은 끊임없이 노쇠하여 부패해가는 과정에 있는 (아침에 거울이 보여주듯이) 유한하고 한정적인 형체가 아니며, 실은 불멸하는, 무한하고, 나이먹지 않는 영적인 개체라고 얘기한다. 그들은 말하기를 자신들이 우리에게 하는 얘기는 단지 우리의 진정한 본성이 평화롭고 사랑이 많으며 기쁨으로 넘치는 충만한 것이지, 성질을 잘 부리고 걸핏하면 걱정하거나 울적해지기 쉬운 그런 것이 아님을 상기시켜 주는 것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어쩌면 그들은 세상은 본질적으로 모든 생명체가 조화롭게 협조하며 살아가는 유익한 공간인데, 다만 인간의 대부분을 포함해서 일부의 종들이 그것을 망각했을 뿐이라는 얘기마저 할 것이다.
It’s the kind of basic ‘spiritual information’ that sounds both simple and true. You could argue with it but who would want to? Probably only those who are perhaps a little addicted to their stress/suffering. However, even when we believe it, it doesn’t change us. It doesn’t change our day-to-day state of being, our patterns of thought, our habits of behavior, our habits of ‘stress creation’, which have all been laid down over many years. No matter how much we ‘believe’ that it’s all true it doesn’t give us the power to free our self from our daily worries and our existential angst. Well maybe there is a slight lessening of the degrees or depth of our stress/suffering as the balm of such ideas provides a kind of consolatory comfort that all is really well within both our inner and outer worlds. But it’s only as good as an ointment for a rash. It only covers the surface and provides a little temporary relief. 이건 간단하면서도 진실한 기본적인 ‘영적인 정보’다. 이것에 대해서 당신은 언쟁할 수도 있겠지만, 언쟁하길 누가 원하겠는가? 아마 자신들의 스트레스/괴로움에 약간 중독된 사람들뿐이기 십상이다. 하지만 그것을 믿는 경우에도, 믿는다고 해서 우리가 변하진 않는다. 그 믿음이 일상적인 우리의 존재 상태, 사고의 패턴, 행동습관, ‘스트레스를 만드는’ 습관 등 여러 해에 걸쳐서 형성된 것들을 바꿀 수는 없다. 그것이 모두 사실이라고 아무리 ‘믿어도’, 그것이 일상적인 근심과 존재에서 오는 불안 섞인 고뇌에서 스스로를 해방시킬 힘을 우리들에게 주지는 못한다. 아마 어쩌면 그러한 개념들이 피부 연고의 역할을 해서 우리의 내면세계도 외부세계도 실제로는 다 괜찮을 것이라는 일종의 위안을 주어서 우리들의 스트레스/괴로움을 살짝 아주 조금쯤 가라앉혀줄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피부 발진에 발라주는 연고 이상은 아니다. 그저 겉에 발라서 일시적으로 약간 증세를 달래줄 따름이다.
Belief is Not Enough 신념만으론 부족하다 We may also recognize that such insights are also not new or exclusive to any particular school of thought, religious philosophy or spiritual understanding. They’ve been around for donkey’s years and they’ve been translated into hundreds of languages in a thousand ways. But still the stress levels rise, the suffering continues, the conflicts deepen, the angst expands. Why? The lack of ‘validation’. 우리는 또 그러한 통찰이 어떤 특정한 사상, 종교적인 철학, 또는 영적인 이해의 학파나 종파에서 새로운 것도 유일한 것도 아니라는 사실도 역시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런 가르침은 사실 오랫동안 있어왔고 수천 가지 방식으로 수백 종의 언어로 옮겨져 왔다. 그런데도 여전히 스트레스의 수준은 높아질 뿐이고 고통은 계속되고 갈등은 더 골이 깊어지며 불안의 고뇌는 확장된다. 왜일까? ‘확인 또는 검증’이 안 되니까. Very few people will give both the time and attention to validating such insights regardless of how right or true they may sound. Regardless of how much even our intuition resonates with the ‘information’ about who and what we really are, regardless of how much we may ‘believe’, it doesn’t give us the power to perceive, think and behave so that we no longer create our own mental and emotional stress/suffering. The belief that other people and situations are responsible for our stress is so deeply rooted it takes more than just another belief to overcome it. Belief is not enough. Validation means we have to see and know for our self. Just as we may actually go to the hospital see and know the mother is there and is critically ill we need to go to the heart our being to see and know who and what we are and how we work from inside out. only then can we ‘know’ our self as a spiritual entity, only then can we ‘know’ if our nature really is peaceful and loving. And only then can we see if life really is always a bowl of cherries, sweet and filled with goodness, despite what others may be doing around us ‘out there’. 그런 통찰이 제아무리 옳고 진실되게 여겨지더라도 그것을 확인해보려고 시간과 관심을 투자할 사람은 극히 적을 것이다. 우리가 정말 누구이며 무엇이라는 ‘정보’에 우리의 직감이 아무리 공명하더라도, 또 아무리 우리가 ‘믿더라도’ 상관없이 그걸로는 정신적 정서적으로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고통 받는 일을 더 이상 하지 않을 방법으로 우리가 인지하고 사고하고 행동할 힘을 얻지는 못한다. 우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남들과 상황 탓이라는 신념은 하도 뿌리가 깊어서 다른 신념이 하나 더 있는 정도 갖고는 그걸 극복할 수 없다. 신념만으로는 부족하다. 확인이란 우리가 직접 보고 안다는 의미다. 병원에 가서 그 어머니가 정말 중태에 빠져서 거기 있는지 봐야만 아는 것처럼 우리 존재의 중심부분에 가서 우리가 정말 누구이며 무엇인지를 보고 알고, 우리가 어떻게 내면에서 바깥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오직 그제서야 우리가 영적인 개체임을 ‘알’ 수 있고, 오직 그제서야 우리는 우리의 본성이 과연 평화롭고 사랑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직 그제서야 비로소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바깥에서’ 남들이 뭐라고 하든, 정말 인생이 그릇에 가득 들어 있는 체리(행복한 경험이라는 의미)이며 달콤하고 좋은 것으로 충만하다는 걸 알 수 있다.
So how do we validate the information that points at ‘the spiritual’, how do we validate what we and many others ‘believe’ to be true? only by entering ‘spiritual’ territory, which isn’t a place but a state of being. In such a territory or state there are no words, no ideas, no memories. There are no longer any concepts of self or the world. There no attachments or beliefs and definitely no attachments to beliefs. These are all the stuff of the mental territory or our mental states. 그렇다면 ‘영성’을 가리키는 정보를 어떻게 확인할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진실이라고 ‘믿는’ 것을 확인할 방법은 무엇인가? 오직 ‘영적’인 영역으로 들어가 봐야만 하는데, 그건 장소가 아니라 존재의 상태다. 그러한 영역 또는 상태에서는 말도 생각도 기억도 없다. 자신에 대한, 또는 세상에 대한 일체의 관념이라는 것이 더 이상은 없다. 애착도 신념도 없으며 신념에 대한 애착은 더 말할 나위 없다. 그런 것들은 모두 정신적인 영역 또는 정신적 상태에 속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Journey to the Centre 중심으로의 여정 Validation of self as a spiritual being and the validation of the true nature of our being requires us to leave both physical and mental states of consciousness behind for a few moments at least. And yet our primary habits of attachment and identification are with the mental and the physical. So just as a vehicle can propel us to the hospital to see for our self, what can propel our consciousness out of physical and mental awareness and into a spiritual state of awareness? Enter the vehicle know as meditation, the vintage car of all spiritual awakening. Meditation is the ability to move through and beyond lower states of conscious awareness and into the highest or deepest state of awareness. Most meditation teachers and practitioners will affirm that the practice itself takes us beyond the awareness of time and change (i.e. awareness of the physical and the mental) and into the timeless and thoughtless dimension of being… just being. only there can we be aware of and know our true self, for our self…so to speak! 자신이 영적인 객체임을 확인하고, 우리 존재의 본성을 확인하려면 최소한 몇 분 이상은 우리의 신체적, 정신적인 의식상태에서 벗어나야만 된다. 그러나 정신적인 습성들과 신체적인 습성들은 우리가 지닌 기본적인 애착과 정체성의 습성이다. 그러니 병원에 가서 직접 보려면 자동차를 타고 마치 병원으로 달려가듯이, 과연 어떤 의식이라는 자동차를 타야 우리가 신체적 정신적 인식에서 영적인 인식상태로 갈 수 있을 것인가? 명상이라고 알려진 탈것을 타시라, 무척 오래된 이 구형 자동차는 모든 영적인 깨달음을 향해 달려간다. 명상이란 낮은 의식상태를 통과하여 마침내 그것을 초월해서 가장 높고 가장 심오한 의식상태로 이동하는 능력을 말한다. 명상을 가르치는 대부분의 스승들과 수련하는 이들은 수행 그 자체가 우리를 시간과 변화에 대한 인식(즉, 신체적 정신적 인식)을 초월해서 우리를 시간도 없고 생각도 없이 그저 존재해 있는 차원으로, 그저 있는 차원으로 우리를 데려간다고 확인해줄 것이다. 우리는 오직 그곳에서만 우리의 진정한 자아를 직접 인식하고 알 수 있을 것이다.
That’s probably why the ‘spiritual elders’, the sages and saints, and the ones who have created a legacy of spiritual wisdom down through the ages both practiced and taught some form of meditation. They knew that only in a meditative state can we ‘see though’ all the learned identities based on a) physical images (form/shape/appearance/fashion etc.) and b) mental ideas (profession/nationality/personal history etc.) and reveal our true authentic self based on ‘no thing’ i.e. no image and no idea. They knew that once memories were silent and the mind was still the ‘self’ was found to be beyond i.e. prior to, any awareness of the physical and mental dimensions of change. In such a state time collapses into the moment called ‘now’ where there is no ‘then’. The ultimate peace of this state of being is then known to be the power of our life itself. From the power of that state of being comes the capacity to ‘consciously create’ all that follows i.e. our thoughts, feelings actions etc. Instead or reacting emotionally to the world around us it’s that ‘inner power’ of being that restores our ability to respond with calm consideration and focused determination. ‘영적인 어른들’, 성현이나 성자들, 그리고 영적인 지혜의 유산을 창조하여 여러 후대에 물려준 분들이 어떤 형태로든 일종의 명상을 수련했고 가르쳤던 이유가 아마도 이런 것이리라. 오직 명상상태에서만 우리가 가) 물리적인 이미지(형태/모양/외모/패션 등)와 나) 정신적인 관념(직업/국적/개인의 이력 등)에 기반을 둔, 학습된 일체의 것을 ‘관통하여’ 수 있고, ‘물건이 아닌 것’ 즉 형상이나 관념이 아닌 것에 기반을 둔 우리의 진정하고 참된 자아를 드러내게 된다는 것을 그들은 알았다. 일단 기억이 잠잠해지고 마음이 고요해지면 ‘자아’라는 것이 변하는 신체적 정신적 차원에 대한 인식을 초월한, 즉 그것을 선행하는 것임을 그들은 알았다. 그런 상태에서는 시간이 무너져 ‘그때’라는 것은 없고 오직 ‘지금’이라는 순간만 남는다. 이런 존재상태의 절대적인 평화가 곧 우리 삶 자체의 힘이 된다. 그 존재상태의 힘에서 그 뒤를 따르는 일체의 것, 즉 우리의 사고, 감정, 행위 등을 ‘의식적으로 창조할’ 능력이 생긴다. 주변 세상에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대신 차분한 사려와 집중된 결의로 대응할 능력이 회복된 바로 그 존재에서 ‘내면의 힘’이 나오는 것이다.
‘They’ also returned from this ‘validatory’ journey in their meditative vehicle to tell us of the deep spiritual insights into the nature of the self and the world that awaits us all. Including the realisation that life itself, despite all its varied textures and turmoils, is just a game, an amazing playful game, happening through us and around us, in which we all have the opportunity to create our own life and play any role that we choose. And that when we ‘live out’ that awareness, as we bring that awareness through our mind and through our behaviours into the world around us, then the world itself, which is itself just a dance of many energies, will rush to line up with us and serve the energy of our being. ‘그들’은 또 명상이라는 자신들의 탈것으로 ‘확인’의 여정을 다녀와서 우리들에게 자아의 본성,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우리 모두를 기다리고 있는 세상의 본성에 대해서도 깊은 영적인 통찰의 얘기들을 들려주었다. 그 얘기엔 인생이 비록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여러 가지 격변들이 따르지만 그럼에도 인생 그 자체는 단지 놀이에 불과하며, 엄청나게 재미난 이 놀이가 우리들을 통해서, 또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데, 거기서 우리 모두 각자의 선택대로 자신의 삶을 창조하며 선택대로 어떤 역할이든 연기할 수 있다는 깨달음도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가 그 인식을 마음과 주변 세상에 대한 행동에 담고서 그 인식에 의거해서 ‘맘껏 살면’, 그럴 땐 세상 자체가 우리와 어울리려고 달려와서 우리 존재의 에너지를 섬기게 될 것이라고, 왜냐하면 세상 자체가 여러 가지 에너지의 춤일 뿐, 그 이상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얘기했다.
Rumi captured both the idea and necessity to go beyond the physical and the mental in order to ‘be in’ and validate our own truth, our own spiritual power, when he said: 루미(이란에서 태어나 터키에서 활동한 신비주의 시인)는 우리들의 진실, 우리들의 영적인 힘 ‘안에 존재’하기 위해 신체적 정신적인 것을 초월해야 한다는 개념과 또 그 필요성을 다음 시구에 담아서 잘 표현했다.
"Out beyond ideas of wrong doing and right doing there is a field. I'll meet you there”. “잘못하고 잘하는 것에 대한 생각 너머에 있는 곳, 그곳에서 당신을 만나겠습니다.”
He was reminding as that ‘prior to’ our mental and physical awareness, prior to our intellectual judgments and evaluations, there is a state of being that restores our awareness of the truth and power of our life. But that truth cannot be known, it’s power cannot change the way we live our life, until we go there and ‘validate’ it’s reality for our self. only then can we know the peace that ‘I am/you are’, only then can we know that love is what ‘I am/you are’, only then can we know pure joy is what ‘I am/you are’. Such validation changes…everything! 그는 우리들에게 정신적 신체적 인식, 머리로 판단하고 평가하는 것보다 먼저, 그런 것들을 ‘선행’해서 우리 삶의 진실과 힘을 회복시켜주는 존재의 상태가 있다는 것을 우리들에게 상기시켜 주었다. 하지만 그 진실은 알려질 수 없고, 그 힘은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 동안 변하므로, 우리 스스로 거기에 가서 직접 ‘확인해’ 봐야 한다. 오직 그럴 때 우리는 ‘나의 존재, 너의 존재’가 곧 평화임을 알고, 비로소 사랑이 곧 ‘나의 존재, 너의 존재’임을 알 수 있으며, 오직 그제서만 ‘나의 존재, 너의 존재’인 순수한 기쁨을 알 수 있다. 그러한 확인은 모든 것을… 바꾼다!
Some prefer not to attempt to see if they can validate such ‘spiritual insights/possibilities’ about the self. Perhaps because of the fear of change, perhaps because of doubt. They prefer to live in the world of beliefs. They prefer a belief based faith, never quite knowing if what they believe is actually true, never quite knowing why they still feel occasionally peaceless, sometimes a little loveless and the odd moments of joylessness. That too, like everything else, is as it is meant to be…they said! 일부 어떤 사람들은 자아에 대한 그런 ‘영적인 통찰/가능성’들을 확인해보기를 시도하지 않는 편을 선호한다. 변화를 두려워하기 때문일 수도 있겠고 어쩌면 의심 때문일 수도 있으리라. 그들은 신념의 세계에 살기를 선호한다. 사실 자신들이 믿는 것이 과연 진실인지 여부를 모르는 상태에서 그들은 믿음에 토대를 둔 신념 쪽을 선호하는데, 어쨌든 그들은 왜 자신들이 여전히 평화롭지 못함을 시시때때로 느끼는지, 왜 가끔씩 사랑이 없게 느껴지는지, 왜 더러 이따금씩 기쁨이 없다고 느껴지는지 알 수 없어한다. 그것 역시, 만사가 다 그러하듯이 그렇게 되어 있다고, 그들은 말했다.
Question: Why do we find it so hard to take time out for our self to explore beyond the ‘known’ territories of mind and body and into the unknown territory of our own spiritual being? 질문: 마음과 육신에 대해 ‘알려진’ 영역 너머, 우리들 자신의 영적 존재에 대한 미지의 영역에서 우리들 자신에 대해 탐구해볼 시간을 내기가 어려운 이유가 당신의 경우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Reflection: "Your task is not to seek for love, but merely to seek and find all the barriers within yourself that you have built against it." - Rumi 성찰: “네가 해야 할 일은 사랑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사랑할 수 없도록 네가 스스로 내면에 지어놓은 온갖 장애물들을 찾는 것뿐이다” -루미
Action: Learn, experiment with and integrate some meditative practice in to your days over the next couple of weeks. 행위: 앞으로 오는 두 주 동안 일상 속에 어떤 방식으로든 명상 수련 방법을 배우고 실험해보고, 생활에 그것을 접목시켜 보십시오.
Clear Thinking is fortnightly at the moment © Mike George 2011 현재 마이크 조지의 이 “명료한 사고” 칼럼은 격주로 발송되고 있습니다. |
ⓒ Mike George 2009
글쓴이: Mike George(www.relax7.com)
번역제공: 한국브라마쿠마리스협회(www.bkkorea.org)
혹시 같은 메일이 하나 이상 들어오는 분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함께 깨어나기 ] > 마이크 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은 얼마나 강력합니까, 실제로? (0) | 2012.01.25 |
---|---|
힘을 생성하는 방법 (0) | 2012.01.25 |
The Power of Purpose 목적이 지니는 힘 (0) | 2012.01.25 |
Have YOU Found the Fork in the Road 두 갈래 길을 발견하셨습니까? (0) | 2012.01.25 |
What Do YOU Really Want? 당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0) | 201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