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께 깨어나기 ]/마이크 조지

The Anatomy of Desire 욕망의 해부

가야트리샥티 2012. 1. 25. 13:07

The Anatomy of Desire 욕망의 해부

 

Following last weeks reflections on Simply Patience someone sent the following comment/question. Under freedom, you write this marks the ‘end of desire’. How does the soul or our inner being expand if there is no desire or a desire for expansion? “오직 인내심이라는 글이 나간 어떤 독자에게서 이런 질문 문의가 왔다. ”자유라는 항목에서 선생님은 이로써 욕망이 끝나 없어진다고 쓰셨죠. 욕망, 혹은 확장의 욕망이 없어지면 영혼 또는 우리의 내면 존재는 어떻게 커집니까?

(역자: 여기서 언급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자유. 당신이 일단 삶을 수용하고 만족스러워하면서 평화를 얻고, 또한 삶에는 반대쪽이라는 것이 있을 없다는 믿음을 지닐 때에만 당신 바깥에서는 아무 것도 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알고깨닫게 된다. 이로써 욕망도 없어지고 무엇을 갈구하던 것도 끝이 나며 비로소 진정한 영적 자유가 회복된다.”)

 

It’s a great question and an invitation to explore the whole area of desire, what desire is and why we are so easily ruled by our desires. 욕망이 무엇이며 우리가 그렇게 쉽사리 욕망에 지배 당하는지 등은 아주 의문이며, 욕망이라는 영역 전체를 한번 탐구해볼 좋은 기회다.

 

Almost all spiritual paths (not just Daoism and Buddhism) describe desire as the trapdoor to the cravings and dependencies that keep the soul, the self, in bondage and enslaved to the object of desire. It is in this slavery, they say, that true freedom is lost. And if one is not inwardly free, spiritually free, then it is impossible to be happy which, in spiritual terms, means peaceful and contended. For most people this is challenging territory in which to find clarity not least because our global culture runs on and is dependent on ‘desire’. It is desire that drives the consumer to consume, it is desire that keeps the producers producing and therefore, according to almost every economists, politicians and business persons perception, it is desire that keeps the world going round. 영성의 길에서는 어디서건 (도교나 불교뿐만 아니라), 욕망이 영혼인 자아를 (욕망의) 대상이 쳐놓은 덫의 굴레에 가두어 노예로 예속시키는 갈망과 의존으로 들어가는 함정의 입구라고 한다. 그리고 이런 예속 상태에서 진정한 자유가 실종된다고 설명한다. 내면적, 영적으로 자유롭지 않은 행복해진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적으로 표현하면 행복이란 평온하고 만족한 상태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명료성을 최소나마 발견할 있는 영역에 (평온하고 만족한, 행복 상태) 근접하기가 어려운데, 이유는 오늘날 세상의 풍조가욕망 사로잡힌 욕망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다. 소비자는 욕망으로 소비하고, 생산자는 욕망을 갖고 생산하니 결국 거의 모든 경제학자, 정치인, 기업가들은 세상을 계속해서 움직이는 힘이 욕망이라는 인식을 가지기 마련이다.

 

It is the desire to achieve that gets the athlete up early in the morning, slogging miles a day to become fit enough to ‘win’. It seems to be desire that gets us through our education. It is desire that drives us towards career success, or business success, or any success, as we embody the modern mantra ‘you have to want it badly enough’ 운동선수가 아침 일찍 일어나 매일 마일씩 뛰는 것은이기겠다 성취 욕구가 있기 때문이다. 직업이나 사업에서뿐 아니라 무엇에서든 성공하게 만드는 것은 욕망이다. 현대인들이 입에 달고 사는진짜 절박하게 원해야 한다 주문을 우리가 몸소 실현하면서 욕망을 가질 그것이 우리를 성공 쪽으로 밀어붙이는 것이다.

-중략-


글쓴이: Mike George(www.relax7.com)

제공: 한국브라마쿠마리스협회

혹시 같은 메일이 하나 이상 들어오는 분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